영불해협 건너던 이주민 보트 뒤집혀…6명 사망, 50여명 구조

박양수 2023. 8. 13. 01: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영불해협에서 이주민 보트가 뒤집히는 사고가 발생해 남성 6명이 숨졌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와 AFP 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 당국은 이날 오전 2시쯤 영불해협을 건너던 이주민 보트가 전복돼 6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약 50명이 구조됐다고 밝혔다.

영불해협은 최단 거리가 34㎞에 불과해 이주민들이 프랑스에서 영국으로 가는 주요 통로로 활용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망자들 모두 30대 아프간 남성들로 추정”
“승객 중엔 수단인과 미성년자도 섞여 있어”
영, 난민 신청자 수용 바지선에서 레지오넬라균 흔적…퇴소 소동
프랑스·영국 구조대, 영불해협서 수색·구조 작업. [로이터=연합뉴스]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영불해협에서 이주민 보트가 뒤집히는 사고가 발생해 남성 6명이 숨졌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와 AFP 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 당국은 이날 오전 2시쯤 영불해협을 건너던 이주민 보트가 전복돼 6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약 50명이 구조됐다고 밝혔다.

사망자들은 모두 30대 아프간 남성들로 추정되며, 다른 승객 중엔 수단인이 섞여 있고 미성년자도 일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프랑스 당국은 이날 새벽 해군 선박·헬기·항공기 등을 투입해 수색·구조활동을 펼쳤다. 영국 해안경비대도 도버에서 선박 두 척을 보내 구조활동을 지원했다.

영불해협은 최단 거리가 34㎞에 불과해 이주민들이 프랑스에서 영국으로 가는 주요 통로로 활용한다. 지난 며칠간 날씨가 좋아서 영불해협 횡단 시도가 급증했다고 프랑스 당국은 말했다.

영국 정부에 따르면 지난 10일 하루에만 755명이 작은 보트를 타고 해협을 건넜는데, 이는 올 들어 최대 규모다.

영국 정부의 한 관계자는 "수십 척의 이주민 보트가 동시에 출항했다. 몇몇 보트는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다"며 "(프랑스 서북부 칼레 인근) 상가트 근처에선 시신도 발견됐다"고 말했다.

구조선에 타고 있던 자원봉사자 앤 소렐은 "여성 한 명을 포함해 모두 54명을 구조했다"고 말했다. 소렐은 "이주민들이 보트에 차오른 물을 신발로 퍼내고 있었다"며 "보트에 너무 많은 사람이 타고 있었다"고 했다.

엘리자베트 보른 프랑스 총리는 소셜미디어(SNS)에 "오늘 아침 칼레에서 이주민 보트가 전복됐다"며 "피해자들에게 위로를 보낸다"고 말했다.

수엘라 브레이버먼 영국 내무부 장관도 X(옛 트위터)에 "비극적 희생"이라고 적었다.

영불해협 간 불법 이주민 문제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있는 영국에선 주요 이슈 중 하나다.

영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초부터 영불해협을 건너온 이주민이 최근 10만 명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선 1만6000 명에 이른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이주민 문제에 대해 강경 대응 기조를 내세워 제1야당인 노동당과의 차별화를 모색하고 있다. 프랑스에 해안 단속을 강화하라고 요구하는 한편, 내부에선 불법 입국한 난민 신청자들에게 문호를 좁히고 있다.

최근 들어선 이주민을 수용하는 호텔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며 해안에 숙소용 바지선을 띄웠다. 하지만 며칠 만에 바지선에서 레지오넬라균의 흔적이 나와 입소자 39명을 전날 도로 호텔로 돌려보내는 소동이 벌어졌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