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별잡’크리스토퍼 놀란,“‘오펜하이머’ 통해 관객도 동일한 상황에 대한 결정 내리게 하고 싶었다”

2023. 8. 11. 10:0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멋진 질문 영광, 내겐 아주 큰 의미”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tvN ‘알아두면 쓸데없는 지구별 잡학사전’(이하 알쓸별잡)에 특별 게스트로 등판한 크리스토퍼 놀란도 잡학 박사들과의 심도 깊은 대화에 빠져들었다.

그는 잡학 수다를 마무리하며, “멋진 질문을 받아 영광이다. 신작 '오펜하이머'를 이렇게까지 깊이 생각해줘서 감사하다. 내겐 아주 큰 의미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지난 11일 방송된 tvN ‘알쓸별잡’ 2회 시청률은 수도권 평균 2.8%, 최고 3.9%, 전국 가구 평균 2.4%, 최고 3.1%를 기록했다.(닐슨코리아 제공, 유료가구 기준)

이날 방송에서는 현존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이 뉴욕 현지에서 잡학 박사들과 수다 빅뱅을 터뜨렸다. “한국의 영화 팬들과 대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알쓸별잡’ 출연 의사를 직접 밝혔다는 놀란 감독. 그의 독보적 영화 세계에 대한 이동진의 질문부터, 과학자의 책임감과 양자물리학에 대한 김상욱의 질문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본 놀란 감독에 대한 깊이 있는 Q&A가 이어진 것. 이에 미디어 노출이 극도로 적은 것으로 유명한 놀란 감독의 영화적 가치관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됐다.

놀란 감독은 먼저 아날로그 실사 촬영을 고집하는 배경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했다. 영화 '인터스텔라'를 촬영할 당시, 수만평에 옥수수를 직접 심어 밭을 만들고, 식용 분말을 날려 모래 폭풍을 날리고, 4차원 공간 역시 실제 세트를 만들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을 정도로 그는 디지털 시대에 필름과 실사로 촬영하는 영화를 고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필름의 화질과 질감이 사람의 눈이 보는 것과 비슷하게 세상을 포착한다. 관객이 영화를 통해 실제적인 현실을 느끼길 바란다”는 이유를 밝혔다. “스태프들의 불평은 없나”라는 영화 감독이라 할 수 있는 장항준의 재치 있는 질문엔, “스태프들이 도전을 즐긴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폭우와 강풍 등 험한) 날씨는 힘들어하는 것 같다”고 솔직하게 답변해 웃음을 유발하기도 했다.

국내 개봉을 앞둔 영화 '오펜하이머'에 대한 대화도 이어졌다. 핵폭탄 개발을 주도한 물리학자 오펜하이머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핵무기에 대한 공포가 크던 시절 영국에서 자랐다. 또한, 복잡한 상황에 부딪힌 인물에게 어려운 질문을 던지는 걸 좋아한다. 그런 점에서 오펜하이머는 매우 드라마틱한 인물이었다”는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원자 폭탄을 완성하기 직전, 전지구가 파괴될 수 있다는 걸 깨달은 그와 함께 관객도 동일한 상황에 대한 결정을 내리게 하고 싶었다”며, “이 영화를 만든 이유는 어떤 선택의 평가가 아니라 이해를 위해서였다. 그렇다고 그들이 옳았다는 뜻은 아니다. 이 논쟁은 영원히 이어질 것”라고 말했다.

놀란 감독은 심채경이 한국어 발음으로 그의 이름이 가진 의미를 설명하자 굉장한 흥미를 보이기도 했다. ‘놀란(be surprised)’과 ‘논란(controversy)’이란 두 가지 뜻이 있는데, 그가 세상에 내놓는 작품마다 대중을 놀라게 하며, 서로 다른 의견을 논의하게 만드는 점에서 놀란 감독을 정확히 묘사한다고 전한 것.

또한, 유현준은 “개인이 힘을 잃어가는 세상이자만, 자신만의 스타일과 철학을 관철시키는 놀란 감독을 창작자의 한 사람으로서 응원한다”는 훈훈한 덕담으로 대화를 마무리했다. 그의 소감대로, 영화뿐 아니라, 여러 측면에서 다채로운 질문과 답변이 오간 이날의 특별한 수다는 놀란 감독에게도 시청자들에게도 의미 있는 시간을 만들었다.

한편, 놀란 감독과 외에도, 이 시대의 우주 전쟁, 기술 발전과 에너지, 그에 따른 환경 파괴를 줄이기 위한 노력,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록밴드 비틀즈와 뉴욕 센트럴 파트 한 켠에 추모 공간이 마련된 존 레논, 미국이 대중문화의 본진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 등 이날에도 역시나 다양한 주제가 등장했다. 이렇게 끊임없이 꼬리를 문 흥미로운 이야기는 알고 있던 뉴욕도 다시 보게 되고, 그곳을 여행하고 싶게 만드는 재미를 상승시켰다. tvN ‘알쓸별잡’은 매주 목요일 밤 10시 30분 방송된다.

wp@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