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술녀, 오열 해명 "택갈이? 결단코 NO"..시위자 목적=선거자금?[실화탐사대][종합]

한해선 기자 2023. 8. 11. 09: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타뉴스 | 한해선 기자]
/사진=MBC '실화탐사대' 방송 캡처

한복 디자이너 박술녀가 한복 택갈이 의혹, 탈세 의혹에 대해 억울함을 호소했다.

10일 방송된 '실화탐사대'에서는 한 택시기사가 박술녀를 고발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이 전해졌다.

택시기사 소 씨는 '박술녀 한복' 가게 앞에서 "박술녀 한복은 대국민 사기극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라며 3주째 마이크로 시위를 하고 있었다.

시위를 하는 이유를 묻자 소 씨는 "(박술녀가) 방송에 나와서 말하는 게 내가 들은 소문과 정반대의 소리를 하더라. 자기가 무슨 장인 정신에, 천사인 것 마냥 하고 '그건 아니다' 생각했다. '내가 행동하는 양심의 한 사람으로서 이건 결코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유명 예능 프로그램 다수 출연, 우리나라 한복을 세계에 알리는 데에 큰 역할을 했던 박술녀. 하지만 소 씨는 그 명성이 모두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소 씨는 "(박술녀가) 얼마나 못된 짓을 많이 했냐면 이루 말할 수 없다. 일부에서는 TV에 많이 나오니까 한복계 장인으로 안단 말이다"라며 "택시 손님이 박술녀에 대해 '그 여자가 참 나쁜 여자예요'라고 그러더라. 그 손님이 모든 걸 얘기해 주는 거다"라고 말했다.

그는 박술녀가 한복 택갈이를 해 판매한다고 주장하며 "기성 한복 상인들은 열이면 열 명 다 사기꾼이라고 본다. 왜 그런지 물어보니까 부가세를 안 끊어준다는 거다. 납세 의무를 성실하게 안 지키는 거다"라고 했다. 그는 "최저임금도, 연봉이 몇 년 전만 해도 한 2500만 원 내지 3000만 원이 초봉이었다. 근데 (일한) 그 사람한테 백만 원 언저리로 준다는 거다"라며 최저임금법 위반도 주장했다.

시민들은 "사실 아니겠냐. 박술녀가 이게 거짓말이라면 명예훼손으로 고소해야 할 거 아니냐. 왜 고소를 안 했겠냐", "요즘 갑질하는 사람 많지 않냐. 아닌 걸 이렇게 하겠냐"라며 소 씨의 말을 그대로 믿었다.

소 씨가 고발 내용의 전단지를 뿌리고 다니자 한복상가의 상인들은 "왜 이렇게 쓸데없는 짓을 하고 다니냐. 박술녀 선생님이 얼마나 우리 시장에 잘하고 다니시는데"라고 말했다.

/사진=MBC '실화탐사대' 방송 캡처

박술녀는 "자존심이 무너지는 거다. 내가 이렇게 안 살았는데. (사람들이) '그러면 그렇지. 김치 명인도 그러더니 한복도 (똑같구나)'라고 하더라. 새벽에도 눈물이 나고 막 저녁에도 눈물이 나더라"라며 눈물을 흘렸다.

그는 "정말 열심히 피땀 흘려서 여기까지 왔지 않냐. 자존심 하나 갖고 살아왔는데 이건 프로그램에 호소하고 싶다고 생각했다"며 한복 택갈이 의혹에 대해 "그거는 단연코, 결단코 맹세코 없다. 택갈이 정도 할 정도면 저는 한복집 운영을 안 할 거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한복상가 상인들은 "(박술녀가) 여기서 원단도 다 사가는데 그럴리가 있냐", "한복이 맞춤인데 그게 가능하냐. 안 가능하지"라고 말했다.

'실화탐사대' 제작진이 소 씨에게 제보했다는 손님에게 전화해 내용을 묻자 "저 한 번도 그런 얘기 한 적이 없다. 박술녀는 어쩌다 한 번씩 본 건데 내가 그런 걸 어떻게 아냐"라며 소 씨의 주장이 사실무근이라고 했다.

소 씨는 박술녀의 탈세 의혹, 최저임금법 위반 제보자에 대해서도 명확한 출처를 밝히지 못하고 건너서 들은 소문이란 식으로 얘기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박술녀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여자고 이면에는 아주 음흉한 황금의 노예"라고 시민들에게 주장했다.

박술녀 측 변호사는 소 씨에 대한 법적 대응에 대해 "명예훼손 행위에 대해 저희가 형사 고소를 진행했고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급한 대로 법원에다가 당장 (거리 현수막) 게시를 중단하고 온라인에서의 행위도 중단하라는 가처분 신청도 해놓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박술녀와 소 씨의 악연은 20년이나 됐다. 2003년 소 씨는 해태유통과 임대차 계약을 맺고 임차인으로 건물에 들어갔고, 계약기간 3년이 지나면 해당 건물의 건물주가 될 거라 믿고 사업장을 열었다. 이후 박술녀가 건물주로 오자 소 씨는 건물에서 안 나가겠다고 버텼고 박술녀에게 권리금으로 13억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박술녀는 당시를 떠올리며 "우리가 진짜 있는 돈 없는 돈 다 식구들한테 빌리고 사채 빌리고 해서 그때 (소 씨에게) 2억 3천만 원을 준 거다"라고 밝혔다.

소 씨는 박술녀가 명도 소송을 해 억울했다면서 장애인 40명을 1450만 원을 주고 사서 시위를 했다고 했다. 소 씨는 자신을 '교육운동가, 시민운동가, 정치운동가, 노동운동가'라고 소개했지만 그의 지역 주민은 "그 사람이 구 선거에 나온다고 하더라. 공천을 받으려면 돈이 있어야 하는데 돈이 없으니 박술녀한테 받아내려는 거다"라며 소 씨의 시위 목적이 선거자금이라고 귀띔했다.

한해선 기자 hhs422@mtstarnews.com

Copyright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