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곳 없다" 일상 덮친 공포… 모임 취소·호신용품 불티 [분노가 키운 길거리 살인마③]

이진혁 2023. 8. 8. 18: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엄정 처벌에도 살인예고 속출
오인 신고·가짜뉴스도 잇따라
'칼부림 예고' 지도까지 등장
'칼부림 예고'에 학교 폐쇄까지 8일 흉악범죄 예고 글로 학교가 일시 폐쇄된 서울 시내의 한 고등학교에 경찰관이 배치돼 있다. 연합뉴스
"모임을 아예 취소하자고 했어요. 거기 가는 사람 살해당할 위험이 있는거잖아요."

강모씨(26)는 지난주 토요일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주관하기로 한 모임 일정을 취소하고 무기한 연기시켰다. 강씨는 "스터디 모임 장소가 강남역인데 공교롭게도 모임 장소가 전날 살인 예고가 나왔던 '강남역 5번출구' 옆이었다"면서 "저만 안나오면 저만 살겠지만 다른 사람이 나왔다 다치면 제가 더 죄책감이 커질것 같아 전체 취소를 제안했다"고 말했다.

신림역, 서현역 인근 등 인파가 몰리는 곳에서 연이어 칼부림 사건이 발생하면서 공포가 일상이 됐다. 칼부림 사건 이후 인터넷에 살인 예고 글이 속출하고 가짜뉴스까지 무차별 확산하고 있다.

■SNS서도 "죽이겠다" 협박글

8일 경찰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까지 온라인에서 파악된 살인 예고 게시물은 194건이다. 이 중 65건이 검거됐는데 52.3%(34명)가 10대 청소년이다.

실제 지난 6일 인천에서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계양역에서 7시에 20명을 죽이겠다"고 적은 10대가 경찰에 붙잡혔다. 지난 5일 원주역에서 칼부림을 저지르겠다는 글을 작성한 뒤 마치 이를 발견한 것처럼 SNS를 통해 제보하는 자작극을 벌인 10대가 검거되기도 했다.

지난 5일 X(옛 트위터)에 'OOOO에서 모두 죽이겠다'고 협박글을 올린 16세 청소년 A군도 검거된 바 있다. A군은 친구가 욕설을 해 화가 나 글을 올렸다고 한다. 같은 날 SNS에 장난 삼아 흉기 사진과 함께 '천안 OO동에서 살인을 저지르겠다'는 글을 게시한 17세 고교생 B군이 검거됐다.

시민들은 흉기난동 예고에 두려움에 떨고 있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사는 구모씨(31)는 "서현역 흉기난동 사고 이후 지하철 등 사람이 많은 곳에 있으면 의식적으로 뒤를 돌아본다"면서 "거동이 수상한 사람들이 보이면 괜스레 신경이 쓰인다. 온라인에서 대처 영상을 계속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직장인 최모씨(30)는 "인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참여했다가 살인 예고 글을 보고 술도 먹지 않았다"며 "텐트 캠핑이 예정됐는데 결국 인근 모텔로 숙소를 옮겼다"고 토로했다.

예고된 흉악범죄를 취합해 정보를 공유하는 X(옛 트위터) 계정과 홈페이지까지 등장했다. 일부 시민들은 호신용품을 구매하기도 했다. 직장인 김모씨(43)는 "최소한의 안전을 위해 나와 가족을 지켜야 할 경우가 생길까봐 구매를 결정했다"면서도 "막상 경호용품을 쓰지 않는 상황이 되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칼부림 예고 알림 서비스도 나와

이달 개설된 '칼부림 및 각종 테러 안내 업데이트'라는 X 계정의 팔로어는 이날 오전 10시 기준 3만명에 이른다. 이곳에는 흉악범죄 예고와 , 경찰력 배치현장 모습 등이 줄줄이 올라온다.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으로 제보도 받고 있다. 지도 기반으로 흉기난동 예보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도 나왔다. '테러리스(terrorless)'라는 이름의 이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면 칼부림 테러 예고 게시글이나 관련 내용을 담은 언론보도 링크와 함께 테러가 예고된 지역을 지도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게시글을 올린 피의자의 검거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해당 서비스 페이지에는 총 55건의 테러 알림이 게시된 상태다.

흉기난동 불안감에 오인 신고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 6일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에서는 '가스 냄새가 난다' '난동범이 있다'는 신고가 들어와 승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있었다. SNS에는 앞뒤 사정을 모른 채 대피하는 승객들과 아수라장이 된 열차 안을 찍은 영상·사진이 퍼져나갔다.

사진과 영상에는 '생화학 테러다' '칼부림이 났다'는 확인되지 않은 주장까지 덧붙으면서 공포가 배가됐다. 결국 오인 신고로 결론이 났으나 대피하는 과정에서 뒤엉킨 승객들이 찰과상과 타박상을 입어 병원으로 이송됐다.

지난 5일에는 경남 사천시와 진주시에서도 흉기를 든 채 돌아다니는 남성이 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가 모두 오인 신고로 판명났다. 4일에는 구로구 개봉역을 지나던 지하철 1호선 열차 안에서도 난동범 신고가 들어와 승객들이 대피했지만 단순 해프닝으로 끝이 났다.

■"경찰 혼자서 예방 어려워"

전문가들은 칼부림 사건과 살인 예고 글 등을 일시적 현상으로 보지 않고 지속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경찰력만으로는 감당이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현실적으로 갑자기 일어나는 흉기난동을 예방하는 것은 어렵다"며 "이 때문에 사회적으로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 이태원 참사 등 각종 재난이 지속되고 있어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 불안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경찰 혼자서 범죄자를 관리하는 것은 효과도 없고 지역사회에 녹아야 한다"며 "단순히 112 신고가 아닌 여러기관, 시민과 함께 범죄 예방에 몰두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국민들의 불안과 공격성에 대해 총체적인 역학조사가 필요하다"며 "시민들의 잠재된 위험성이 얼마나 있는지 파악돼야 범죄와 연관성에 대해 파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