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카눈’ 일본 안 가고 곧바로 한반도 관통 전망(종합)

신진호 2023. 8. 6. 16: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6호 태풍 카눈의 예상이동경로가 점점 더 한반도 쪽을 향해 바뀌고 있다.

당초 일본 규슈를 스치듯 관통할 것으로 예상됐던 카눈은 최근 예보에서 서쪽으로 더 크게 꺾어 부산 인근에 상륙, 한반도를 관통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오전까지만 하더라도 기상청은 카눈이 9일 오전 일본 가고시마현 서쪽 약 70㎞ 해상에서 규슈를 스치듯 지나갈 것으로 예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호 태풍 ‘카눈’ 6일 오후 4시 예상이동경로. 기상청 제공

제6호 태풍 카눈의 예상이동경로가 점점 더 한반도 쪽을 향해 바뀌고 있다. 당초 일본 규슈를 스치듯 관통할 것으로 예상됐던 카눈은 최근 예보에서 서쪽으로 더 크게 꺾어 부산 인근에 상륙, 한반도를 관통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기상청에 따르면 카눈은 이날 오후 3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북동쪽 약 240㎞ 부근 해상을 지났다. 중심기압은 970h㎩(헥토파스칼), 최대풍속 초속 35m(시속 126㎞)에 강도 ‘강’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카눈은 현재 시속 9㎞의 느린 속도로 북동진 중이다. 북위 30~35도에서 태풍의 이동속도는 평균 시속 30㎞ 안팎이다.

카눈은 7일까지 시속 4㎞ 안팎의 느린 속도로 오키나와 북동쪽 해상에서 북동진하다가 8일 새벽부터 방향을 크게 꺾어 북서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까지만 하더라도 기상청은 카눈이 9일 오전 일본 가고시마현 서쪽 약 70㎞ 해상에서 규슈를 스치듯 지나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오후에 나온 태풍정보는 태풍의 중심이 9일 오후 가고시마 서북서쪽 약 140㎞ 해상을 지나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렇게 되면 카눈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할 것이라는 오전 예보와 달리 부산 부근 남해안에 상륙해 10일 오후 3시에는 대구를 그대로 관통하게 된다.

전날까지는 카눈이 일본 규슈를 관통해 울릉도 부근으로 북상해올 것으로 전망됐는데, 점점 한국에 가까운 방향으로 수정돼 결국 한반도를 관통하는 경로를 그릴 전망이다.

‘태풍 위치 70% 확률반경’(태풍 중심이 위치할 확률이 70% 이상인 범위)에는 전국이 모두 포함됐다.

대구 북쪽에 이를 때까지 강도가 ‘중’을 유지하면서 이때 영남 대부분은 태풍 폭풍반경(풍속이 25㎧ 이상인 구역), 전국은 강풍반경(풍속이 15㎧ 이상인 구역)에 들겠다.

각국 최신 예보를 보면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나 일본 기상청, 중국 중앙기상대 등도 기상청과 비슷하게 카눈이 부산 쪽으로 상륙해 우리나라 동쪽을 관통하는 경로를 유력하게 전망하고 있다.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이 서쪽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카눈 예상 경로도 서쪽으로 옮겨가는 모습이다.

유사한 경로로 한국을 통과한 과거 태풍 사례를 고려할 때 이번에도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오고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장마로 발생한 수해가 완전히 복구되지 않은 가운데 카눈의 상륙이 예상되면서 피해가 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최근 한 달간 누적 강수량은 전국 평균 473.2㎜로 평년 치(284.6㎜)의 1.5배가 넘는다.

신진호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