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놈 올라온다”…일본 찍고 한국 오는 ‘변화무쌍’ 태풍 카눈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boyondal@mk.co.kr) 2023. 8. 5. 16: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태풍 카눈이 한반도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사진출처 = 기상청]
제6호 태풍 카눈이 일본을 통과한 뒤 울릉도 방면으로 진출하면서 강원영동과 동해안을 중심으로 영향을 줄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카눈은 5일 오전 9시 기준 일본 오키나와 북서쪽 170㎞ 해상을 통과했다.

카눈은 중심기압 970hpa(헥토파스칼), 최대풍속 35㎧(시속 126㎞)로 강도 등급 ‘강’을 유지하고 있다.

카눈은 6일 오후까지 일본 규슈 남쪽 해상을 향해 시속 10~12km로 서서히 동북 동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7일부터 북진 또는 북북동진해 9일 새벽이면 일본 규슈에 상륙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일반적인 태풍은 규슈를 통과하면서 5∼10hpa 정도 약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카눈은 태풍의 원통형 구조를 유지할 전망이다.

이렇게 태풍 모양을 한 카눈은 한국 동해안을 향해 북상, 10일 오전 9시 기준 울릉도 남동쪽 40km 해상에 위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카눈의 강도 등급은 ‘중’으로 내려가겠으나 동해상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3~4도 높은 만큼 세력이 어느정도 유지될 가능성도 있다.

현재 예상대로는 서해안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태풍 위치 70% 확률반경’(태풍 중심이 위치할 확률이 70% 이상인 범위)에 들어가 있어 카눈이 한반도에 상륙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다만 각국 예보에서는 아직까지 카눈이 한반도에 상륙할 것으로 내다본 기상 당국은 없다. 그만큼 카논의 예상 경로가 변화무쌍하기 때문이다.

북태평양고기압과 열대 저기압성 순환에 영향받는 정도에 따라 북진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박정민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태풍의 작은 변화에도 강수량이 극명하게 달라질 수 있다”라며 “앞으로 진행되는 브리핑을 통해 더 정확해진 자료를 바탕으로 예상 강수량과 지역을 전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