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에서도 '헤어질 결심'...20대가 가장 많이 빌린 책

이수지 기자 2023. 8. 3. 09: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헤어질 결심' 각본이 20대가 가장 많이 빌려간 책 1위에 올랐다.

국립중앙도서관이 3일 최근 1년간 20대 청년들의 공공도서관 대출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학 부문에서 20대 관심이 가장 두드러진 주제 분야는 희곡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비문학 부문 대출 동향에서는 그래픽디자인, 도안, 포스터 주제 분야에 20대 관심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됐다.

20대 공공도서관 종이책 대출량은 큰 변화 없이 예년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최근 1년간 20대 청년들의 공공도서관 대출 동향 분석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2023.08.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영화 '헤어질 결심' 각본이 20대가 가장 많이 빌려간 책 1위에 올랐다.

국립중앙도서관이 3일 최근 1년간 20대 청년들의 공공도서관 대출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문학 부문에서 20대 관심이 가장 두드러진 주제 분야는 희곡으로 나타났다.

‘희곡 대출 상위도서를 살펴보면, 박찬욱, 정서경의 '헤어질 결심', 김보라의 '벌새', 이나은의 '그 해 우리는'이 각각 1,2,3위를 차지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파우스트' 등 서양 고전 작품도 주를 이뤘다

도서관은 "대본집을 굿즈처럼 여기는 새로운 트렌드가 도서관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희곡 도서 전체 대출 중 20대 비중이 31.8%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2021.7.~2022.6.) 대비 9.6% 상승한 수치다.

[서울=뉴시스] 최근 1년간 20대 청년들의 공공도서관 대출 동향 분석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2023.08.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 1년간 비문학 부문 대출 동향에서는 그래픽디자인, 도안, 포스터 주제 분야에 20대 관심이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됐다.

그래픽디자인 도서의 전체 대출 중 36.7%를 20대가 차지했다. 이는 10대(17.5%)와 30대(9%)에 비해 2배 이상 많았다.

그래픽디자인 대출 상위도서를 살펴보면 오자와 하야토의 '디자인, 이렇게 하면 되나요?', 김소희의 '카카오톡 이모티콘 만들', 이상인의 '디자이너의 생각법' 등 인쇄·출력부터 이모티콘, UI/UX까지 그래픽이 적용되는 모든 분야가 망라됐다.

기초부터 레이아웃, 색상, 사진, 폰트 등 디자인 작업 전반을 다룬 도서와 실제 적용 가능한 작가의 노하우가 담긴 도서에 대한 반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시스] 최근 1년간 20대 청년들의 공공도서관 대출 동향 분석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제공) 2023.08.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20대 공공도서관 종이책 대출량은 큰 변화 없이 예년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021년 444만6184건, 2022년 445만3178건, 2023년 상반기도 220만3676건이었다.

특히 전자책, 오디오북 등 독서 매체 이용 증가세가 20대에서 두드러졌다.

2021년 국민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2019년 대비 20대의 전자책과 오디오북 독서율은 각각 29.5%, 84.6%였다. 반면 40대 이용률은 각 4.2%, 7.1% 감소했다.

도서관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20대들이 종이책이라는 전통 매체 외에도 다른 독서 매체를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결과는 도서관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도서관 정보나루’의 대출데이터 9773만4249건을 분석한 결과다. 빅데이터 분석보고서 ‘도담: 도서관 빅데이터를 담다’ 제4호에서 볼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