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송슬기 교수, 영국 왕립화학회 신진 연구자 인정

김지은 기자 2023. 8. 2. 19: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왕립화학회(RSC, Royal Society of Chemistry)에서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JMCA)의 2023년 '이머징 인베스티게이터(Emerging investigator)'로 선정된 충남대 송슬기 교수는 이 같이 밝혔다.

왕립화학회는 1841년 설립돼 전 세계 5만 4000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한 화학분야의 최고 권위의 학회로, 전도유망한 신진연구자 중 우수한 성과를 이룬 연구자를 '이머징 인베스티게이터'로 선정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학술지 JMCA의 2023 '이머징 인베스티게이터' 선정
충남대학교 송슬기 교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안정성 확보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상용화 및 소자 최적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영국 왕립화학회(RSC, Royal Society of Chemistry)에서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인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JMCA)의 2023년 '이머징 인베스티게이터(Emerging investigator)'로 선정된 충남대 송슬기 교수는 이 같이 밝혔다.

왕립화학회는 1841년 설립돼 전 세계 5만 4000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한 화학분야의 최고 권위의 학회로, 전도유망한 신진연구자 중 우수한 성과를 이룬 연구자를 '이머징 인베스티게이터'로 선정하고 있다. 송슬기 교수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활용한 태양전지의 효율 및 안정성 향상에 관련한 연구를 인정받아 JMCA의 신진연구자 시리즈(Emerging Investigator Series)에 초청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IF:14.511) 7월 11일자 온라인판(논문 제목 : A dual functional molecule for perovskite/P3HT interface to achieve stable perovskite solar cells)에 게재됐다.

이번 논문에는 양기능성 물질을 이용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박막 계면에 안정성을 향상시켜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극대화시키는 연구결과가 담겼다.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실리콘태양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태양전지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실리콘 태양전지에 상응하는 높은 효율을 기록하며 가장 유력한 상용화 태양전지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소자의 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송 교수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와 정공전달층의 양쪽에 반응성을 갖는 양기능성 물질을 활용해 태양전지 내부의 박막 계면을 안정시키고, 정공전달물질의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기술을 세계 최초로 보고했다. 해당 양기능성 물질을 갖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내부의 계면을 안정시켜 고수분의 환경에서도 초기 효율의 90%를 유지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에 대한 핵심기술을 확보했다고 보고했다.

송슬기 교수는 "두 가지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기술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해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본연구와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개발사업 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송 교수팀이 발표한 논문 이미지. 사진=충남대 제공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