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폭염에 울고 폭염에 웃네" 천일염 생산 어민의 여름나기

정다움 2023. 8. 2. 14: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폭염 때문에 죽겠는데, 우리들은 폭염 때문에 또 살 수 있지."

한 달간 쏟아진 장맛비로 4만9천586㎡ 규모 염전이 물에 잠기는 피해를 보았지만, 지난달 25일부터 시작한 폭염 덕분에 일주일 새 1만4천㎏의 소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했다.

방류가 시작된 건 아니지만, 벌써 일부 천일염 생산자는 태양광 시설을 설치하는 업자들에게 세를 내줬고, 염전 사업보다 수익성이 높다는 소문도 돈다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더위 아랑곳하지 않고 소금 생산에 비지땀 흘려
'소금물이 그린 그림' (영광=연합뉴스) 정다움 기자 = 9일째 폭염 특보가 발효된 2일 오전 전남 영광군 염산면 한 염전에 소금물이 고여있다. 2023.8.2 daum@yna.co.kr

(영광=연합뉴스) 정다움 기자 = "폭염 때문에 죽겠는데, 우리들은 폭염 때문에 또 살 수 있지."

가마솥더위가 9일째 기승을 부린 2일 낮 전남 영광군 염산면 한 염전.

소금물에 내리쬐는 뙤약볕이 고스란히 반사되는 무더위에도 천일염 생산자 임채봉(71) 씨는 흥겨운 듯 콧노래를 불렀다.

소금물을 증발시켜 결정체를 얻기 위한 배수 작업을 하던 그는 장마가 끝난 뒤 찾아온 폭염이 달갑기만 하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한 달간 쏟아진 장맛비로 4만9천586㎡ 규모 염전이 물에 잠기는 피해를 보았지만, 지난달 25일부터 시작한 폭염 덕분에 일주일 새 1만4천㎏의 소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했다.

동이 트는 오전 6시 염전으로 나가 해가 저무는 오후까지 배수 작업에 매진한다는 그는 동원된 중국 국적 인부들에게 "오늘 안으로 마무리해야 한다"며 재촉하기도 했다.

밀대로 배수 작업을 하던 인부들 너머로 보이는 그의 회색 반소매는 땀으로 젖고 메마르기를 반복해 땀자국이 선명하게 남았다.

임씨는 "장마가 길어지면서 소금 생산은커녕 생계 걱정하기 바빴다"며 "푹푹 찌는 이런 날씨가 아니면 소금 결정체가 맺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반가운 폭염특보 (영광=연합뉴스) 정다움 기자 = 9일째 폭염 특보가 발효된 2일 오전 전남 영광군 염산면 한 염전에서 인부가 소금물을 증발시키기 위한 배수 작업을 하고 있다. 2023.8.2 daum@yna.co.kr

오늘은 오후부터 모레까지 소나기가 예보되면서 그와 그의 배우자, 추가 인부들까지 염전으로 투입됐다.

염전에 고인 소금물에 빗물이 섞이게 되면 염분이 낮아질뿐더러 수온마저 내려가 결정체가 맺히는 기간이 늘어난다고 속앓이했다.

여기에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걱정하는 마을 분위기까지 더해져 임씨는 올해를 마지막으로 염전 사업 중단도 고심하고 있다.

방류가 시작된 건 아니지만, 벌써 일부 천일염 생산자는 태양광 시설을 설치하는 업자들에게 세를 내줬고, 염전 사업보다 수익성이 높다는 소문도 돈다고 했다.

30년째 천일염 생산자로 일한 임씨의 배우자 김정자(68) 씨는 "오염수 방류를 막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면 방류로 인한 피해를 보는 어민들에게 지원이라도 해줘야 한다"며 "그런 대책이 없으니 어민들이 소금 사업을 그만두고 떠나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 천일염 최대 생산지인 신안과 마찬가지로 영광에서는 한 해 동안 20㎏ 소금 포대 40만개가 나오는 곳이다"며 "대체 불가능한 소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나라에서 도와달라"고 덧붙였다.

무더위 식히는 천일염 생산자 (영광=연합뉴스) 정다움 기자 = 9일째 폭염 특보가 발효된 2일 오전 전남 영광군 염산면 한 염전에서 인부가 소금물을 증발시키기 위한 배수 작업을 마친 뒤 휴식을 취하고 있다. 2023.8.2 daum@yna.co.kr

dau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