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시청 점유율 1위는?…지상파는 KBS·종편은 TV조선

이정현 2023. 8. 2. 1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텔레비전 방송 시청 점유율 산정 결과 지상파는 KBS가,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이 1위를 기록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2일 발표한 301개 TV 방송사업자의 '2022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산정 결과'에서 지상파의 경우 KBS가 22.334%로 1위였다.

방통위는 해당 방송사업자의 시청점유율, 특수관계자 등의 시청점유율, 일간신문 구독률 환산시청점유율 등을 합산해 시청점유율을 산출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통위, 방송 사업자 301곳 산정 결과 발표
방송통신위원회 로고 [홈페이지 다운로드]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지난해 텔레비전 방송 시청 점유율 산정 결과 지상파는 KBS가, 종합편성채널은 TV조선이 1위를 기록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2일 발표한 301개 TV 방송사업자의 '2022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산정 결과'에서 지상파의 경우 KBS가 22.334%로 1위였다. 이어 MBC 10.478%, SBS 7.788%, EBS 1.921% 순이었다.

종편은 TV조선이 7.942%로 가장 높았고, 이어 JTBC가 6.07%, 채널A가 4.082%, MBN이 3.673% 순이었다.

보도전문채널은 YTN 3.429%, 연합뉴스TV 3.397%였다.

지상파와 종편 모두 순위가 전년과 동일했다.

이 밖에 주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CJ ENM이 10.257%로 가장 높았고 현대HCN 3.172%, SK브로드밴드 0.529%, 딜라이브 0.007%, CMB 0.005% 순으로 조사됐다.

위성방송 사업자인 KT스카이라이프는 3.231%로 집계됐다.

시청점유율이란 전체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총 시청시간 중 특정 방송채널에 대한 시청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한 방송사업자의 시청점유율이 30%를 초과할 수 없다.

방통위는 해당 방송사업자의 시청점유율, 특수관계자 등의 시청점유율, 일간신문 구독률 환산시청점유율 등을 합산해 시청점유율을 산출한다.

이와 함께 방통위는 지난해 매체 교환율이 0.37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매체 교환율은 TV 방송과 일간신문의 매체 영향력 차이를 보여주는 지표로, TV 방송을 1로 볼 때 일간 신문의 상대적 비율을 나타낸다.

방통위는 이런 결과를 방송통계포털(www.mediastat.or.kr)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방통위 사무처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방송광고 결합판매 지원고시' 일부 개정안을 보고했다.

방통위는 고시 개정을 통해 방통위를 상대로 결합판매 지원고시 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해 지난해 11월 승소한 한국DMB를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의 신규 지원대상사업자로 추가하기로 했다.

lis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