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국 1인당 GDP, 주요국 중 세번째로 많이 줄었다

민선희 2023. 8. 2. 06: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8.2% 감소해 주요국 중 세 번째로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은행을 통해 집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세계은행(WB)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3만2천142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2021년에 이어 47개국 중 세계 22위를 유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2% 감소한 3만2천달러…47개국 중 일본, 스웨덴 이어 감소율 3위
한은 "원화 가치 12.9% 하락한 영향"…성장동력 약화 우려도
작년 한국 1인당 GDP, 주요국 중 세번째로 많이 줄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8.2% 감소해 주요국 중 세 번째로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은행을 통해 집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세계은행(WB)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3만2천142달러를 기록했다.

2021년(3만4천998달러)보다 8.2% 줄었으며, 감소율이 주요 47개국 중 일본(-15.1%), 스웨덴(-8.5%)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47개국에는 세계경제규모 30위권 국가와 OECD 회원국이 포함됐다. OECD 회원국은 OECD 자료를, OECD 비회원국은 WB 자료를 기준으로 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2021년에 이어 47개국 중 세계 22위를 유지했다.

국가별로는 룩셈부르크(12만5천558달러)가 1위를 기록했으며, 노르웨이(10만6천180달러), 아일랜드(10만4천237달러), 스위스(9만1천976달러), 미국(7만6천360달러) 순이었다.

우리나라와 순위를 다투는 국가들로는 이탈리아(3만4천109달러·20위), 일본(3만3천864달러·21위)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달러 기준 1인당 GDP가 크게 감소한 것은 지난해 원화 가치가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원화 기준으로는 지난해 우리나라 명목 GDP는 2천161조8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다.

그러나 달러 기준으로는 1조6천652억달러를 기록해, 전년(1조8천110억달러)보다 8.0% 뒷걸음쳤다.

달러 기준 명목 GDP 감소율(8.0%) 역시 자료가 집계된 42개국 중 일본(-15.5%)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우리나라의 달러 기준 명목 GDP는 전 세계 13위로 추정돼, 2021년 10위에서 3계단 하락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달러 기준 GDP가 감소한 것은 환율이 12.9%나 상승한(원화 가치 하락) 영향이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원/달러 환율 평균은 1,291.75원으로, 2021년 1,144.32원보다 12.9% 올랐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는 지난해 석유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많이 절하됐는데, 순위가 오른 브라질·러시아·호주 등은 에너지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라 환율 영향이 없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다만 우리나라 경제 성장 동력이 점차 약화하고 있다는 점은 문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25일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0%로 0.2%포인트(p) 올려잡으면서도,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 1.5%에서 1.4%로 0.1%p 하향했다.

IMF는 작년 7월·10월과 올해 1월·4월·7월까지 5차례 연속으로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내렸다.

ss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