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수해복구 ‘이중고’ 겪는 이재민…텐트살이까지

이자현 2023. 7. 31. 21: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청주] [앵커]

집중호우로 수마가 휩쓸고 간 곳에 이번엔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이재민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거처할 곳이 마땅치 않은 일부 이재민들은 주택 옥상에 텐트를 치고 힘겨운 복구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자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주택 옥상 시멘트 바닥 위에 텐트가 설치됐습니다.

이부자리와 수건, 선풍기 한 대가 세간살이의 전붑니다.

밤까지 이어지는 무더위에 비좁은 텐트 안에서는 지친 몸을 누일뿐 잠을 청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김현숙/이재민 : "언제까지 여기서 생활할지는 몰라요. 아직 집안이 마르질 않고 모든 게 습하니까 들어갈 수가 없어요. 기약은 없으니까."]

홀로 사는 김순덕씨는 한 시간 거리의 자식 집을 마다하고 눅눅한 내집살이를 택했습니다.

더위에 지친 몸을 이끌고 엉망이 된 집안을 치워보지만,

["이걸 어쩌면 좋아."]

젖은 집이 언제 마를지, 고쳐 쓸 수는 있는지 답답하기만 합니다.

[김순덕/이재민 : "어제 (벽지를) 뜯었는데 속에 물이 줄줄 나와. 다 뜯어 내버렸어. 힘들지 뭐. 어제 내가 땀을 뻘뻘 흘리면서 다 고치고."]

이 마을에서만 16가구 30명이 모든 게 불편한 이재민 생활을 2주째 이어가고 있습니다.

친인척집이 가까운 이들은 그나마 사정이 조금 낫지만 마냥 신세 질 수는 없는 터라 밤낮으로 복구작업에 매달리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자들이 도움의 손길을 주고 있지만 속도는 맘만큼 따라주지 않습니다.

[김윤원/경기도 남양주시/자원봉사자 : "날씨도 너무 덥고 지역에 와보니까 진짜 엄청난 피해를 입은 농민들이 참 안타깝고."]

수마가 할퀴고 간 상처가 아물기도 전.

폭염 속에서 자리 펴고 편히 누울 곳조차 없는 이재민들의 고통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자현입니다.

촬영기자:김성은

이자현 기자 (interest@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