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빼먹은 LH 아파트` 명단 공개…파주운정·남양주별내 등 15곳

이미연 2023. 7. 31. 16: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하주차장 철근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은 채 시공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아파트 15개 단지(1만1168세대)가 공개됐다.

파주 운정(A34 임대), 남양주 별내(A25 분양), 아산 탕정(2-A14 임대) 등 15곳이며 이 중 5곳은 이미 입주를 마쳤다.

이 중 파주 운정(A34 임대·1448세대)과 남양주 별내(A25 분양·380세대), 아산 탕정(2-A14 임대·1139세대), 음성 금석(A2 임대·500세대), 공주 월송(A4 임대·820세대) 등 5곳은 주민들이 이미 입주를 마친 단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과 이한준 LH 사장. 사진 국토부

지하주차장 철근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은 채 시공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아파트 15개 단지(1만1168세대)가 공개됐다. 파주 운정(A34 임대), 남양주 별내(A25 분양), 아산 탕정(2-A14 임대) 등 15곳이며 이 중 5곳은 이미 입주를 마쳤다.

전날 국토부는 LH 발주 아파트 중 지하주차장에 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91개 단지를 전수 조사한 결과 15개 단지에서 있어야 할 철근이 빠져 있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철근 누락 LH 아파트의 명단과 시공사, 감리 담당사 등을 공개했다.

이 중 파주 운정(A34 임대·1448세대)과 남양주 별내(A25 분양·380세대), 아산 탕정(2-A14 임대·1139세대), 음성 금석(A2 임대·500세대), 공주 월송(A4 임대·820세대) 등 5곳은 주민들이 이미 입주를 마친 단지다.

수서역세권(A-3BL 분양·597세대)과 수원 당수(A3 분양·400세대),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RH11 임대·822세대) 등 4곳은 현재 입주 중인 단지이고, 오산 세교2(A6 임대·767세대)는 다음 달 30일 입주가 예정된 곳이다.

파주 운정3(A23 분양·1012세대)과 양산 사송(A-2 분양·479세대), 양주 회천(A15 임대·880세대), 광주 선운2(A2 임대·606세대), 양산 사송(A-8BL 임대·808세대), 인천 가정2(A-1BL 임대·510세대) 등 6곳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원 장관은 "LH 공공주택을 총괄하는 책임자로서 국민 여러분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가장 안전하고 튼튼해야 할 공공주택에서 국민 안전의 기본이 지켜지지 못한 점을 통렬히 반성한다"고 밝혔다.

이한준 LH 사장은 "발표하지 않는다면 정부가 축소·은폐한다는 말이 나올 수 있어 아주 경미한 부실까지 소상히 발표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4월 무량판 구조로 시공된 인천 검단 LH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철근(전단보강근) 누락으로 붕괴사고가 발생하자 같은 공법으로 지어지고 있는 LH 발주 아파트 91개 단지의 전수 조사에 나선바 있다.

무량판 구조는 상부의 무게를 떠받치는 보 없이 기둥이 슬래브(콘크리트 천장)를 바로 지지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둥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슬래브가 뚫리는 것을 막기 위해 기둥 주변에 전단 보강근을 설치하는데, 이를 필요한 만큼 설치하지 않아 붕괴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에 적발된 단지들의 부실 역시 설계, 감리, 시공 전 과정에서 발견됐다. 설계 과정부터 지하주차장 기둥 주변 보강 철근을 누락시킨 단지도 있었고, 일부는 설계 도면대로 시공되지 않았다.

철근 누락 아파트 시공사는 대보건설, 대림건설, 양우종합건설, 한라, 동문건설, 삼환기업, 이수건설, 한신, 효성중공업, 대우산업개발 등 13곳이며 설계도 각각 다른 업체가 했다.

이한준 사장은 "(특정 업체의 문제라기보다는) 건설업 시스템 구조상 문제가 있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원 장관은 "이번에 문제가 된 LH아파트는 무량판을 적용한 지하주차장의 기둥 부위에 해당되고, 지하주차장 상부에 건물이 없어 주거 부분에 대한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이번 보수 보강은 콘크리트 학회의 보강방법에 관한 자문을 거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날 강조했던 '건설 이권 카르텔'에 대한 경고를 다시한번 언급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는 '반카르텔 정부'로서 건설분야의 이권 카르텔을 뿌리뽑겠다"며 "과거에 관행적으로 있던 안전불감증, 그로 인한 부실시공 일체를 비용이 얼마가 들더라도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철저한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미연기자 enero20@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