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플 수도 없어요"…교사 1명만 바라보는 학교 특수교육

최종호 2023. 7. 31. 16: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의 한 특수교사는 출장으로 인해 학교를 하루 이틀 나올 수 없게 되자 자신이 맡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을 특수학급으로 보내지 말고 각 학생이 속한 통합학급에서 맡아달라고 학교 측에 요청했다가 "학습권 보장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교육 당국의 감사를 받았다.

장 위원장은 "특수교사의 부재 시 곧바로 대체인력을 투입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지역이 거의 없다"며 "교육 당국은 특수교사를 충원하고 인재풀을 꾸려서 특수교육이 공백 없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 대상자 느는데 교사는 줄어…"충원하고 인재풀 꾸려야"

(수원=연합뉴스) 최종호 기자 = 전남의 한 특수교사는 출장으로 인해 학교를 하루 이틀 나올 수 없게 되자 자신이 맡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을 특수학급으로 보내지 말고 각 학생이 속한 통합학급에서 맡아달라고 학교 측에 요청했다가 "학습권 보장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교육 당국의 감사를 받았다.

'교육권 보장·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전국 각지에서 모인 교사들이 지난 29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사거리 인근에서 열린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집회에 참석해 팻말을 흔들고 있다. 2023.7.29 dwise@yna.co.kr

31일 전국특수교사노조 측이 인력부족으로 인한 특수교사의 고충으로 소개한 사례이다.

특수교육은 시·청각장애, 지체장애,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등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말한다.

일반 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은 일반 학생들과 같은 학급에 속하지만, 수업은 특수학급으로 이동해 특수교육을 받는다.

수업 외에 교내 다른 활동은 자신이 속한 일반 학급에서 하며, 이처럼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속한 학급을 통합학급이라고 한다.

전국특수교사노조 장은미 위원장은 "특수교사는 학교당 1명인 곳이 많아서 특수교사가 아프다거나 해서 하루나 이틀 정도 학교를 빠져야 할 때 다른 교사에게 부탁할 수 없으니 교사 개인이 특수교사를 수소문해 자신의 자리를 맡아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그는 "갑자기 자리를 비워야 할 때 특수교사는 통합학급 담임에게 '오늘은 제가 일이 있으니 특수학급에 보내지 마시고 선생님께서 데리고 있어 주세요"라고 부탁하곤 하는데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돌보는 게 쉽지 않아서 부탁하기가 쉽지 않다"며 "맘대로 아플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자폐 성향 자녀를 가르치던 특수교사를 아동학대 혐의로 무리하게 신고했다는 논란이 불거진 웹툰 작가 주호민 씨의 사례에서도 특수교사 부족으로 인한 인력 공백이 발생했다.

주 씨 측의 신고로 수사에 나선 경찰과 검찰은 교사의 혐의가 인정된다고 보고 재판에 넘겨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인데, 이 과정에서 해당 교사가 직위해제 돼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 대한 수업 결손 기간이 6일 생겼다.

발달장애인 통합유치원·특수학교(PG) [최자윤 제작] 일러스트

해당 교육지원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내 특수교사가 긴급 투입돼 4일은 수업 결손을 막았지만, 불가피하게 나머지 2일은 막지 못했다.

장 위원장은 "특수교사의 부재 시 곧바로 대체인력을 투입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지역이 거의 없다"며 "교육 당국은 특수교사를 충원하고 인재풀을 꾸려서 특수교육이 공백 없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특수교육 대상자는 2011년 8만2천665명, 2018년 9만780명, 지난해 10만3천659명으로 증가 추세이지만, 2023학년도 특수교사는 전년도보다 545명 감소한 349명을 선발했다. 2022학년도 특수교사는 894명 선발했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사 정원은 교육부에서 정해서 교육청 차원에서 늘릴 수 없지만 교육지원청마다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활용해 특수교사의 인력풀을 제도적으로 마련하는 방안은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는 이날 주 씨 논란과 관련한 성명을 내고 "교육 당국은 특수교사의 실태를 정밀 파악하고, 그에 맞는 교권보호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재판부는 해당 교사가 처한 암담한 교육 현실을 고려해 무죄를 선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zorb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