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떡 마라떡볶이 ‘품절’… ‘중국의 맛’ 유행은 ‘~ing’ [넷만세]

이정수 2023. 7. 24. 11: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수년째 유행하고 있는 '중국의 맛' 마라 맛의 인기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떡볶이 브랜드 동대문엽기떡볶이(엽떡)가 최근 출시한 '마라떡볶이'가 폭발적인 인기로 '임시 품절'되며 마라 맛의 식지 않은 돌풍을 다시금 입증했다.

실제로 엽떡 마라떡볶이가 출시된 지난 18일 이후 배달 어플리케이션(앱) 등에서 품절돼 주문이 불가능한 상황을 토로하는 글들이 온라인상에 쇄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제품 출시 엿새 만에 ‘임시 품절’ 공지
“초도물량 소진… 정상판매 8월 초 가능”
온라인엔 “품절로 못 먹었다” 불만 많아
“마라향 가득” “너무 자극적” 후기 상반
젊은 여성층 ‘마라 열풍’ 10대로 번지며
“아이 건강 걱정” 학부모 우려 나오기도

떡볶이 브랜드 동대문엽기떡볶이(엽떡)가 최근 출시한 ‘마라떡볶이’ 이미지. 엽떡 제공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수년째 유행하고 있는 ‘중국의 맛’ 마라 맛의 인기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떡볶이 브랜드 동대문엽기떡볶이(엽떡)가 최근 출시한 ‘마라떡볶이’가 폭발적인 인기로 ‘임시 품절’되며 마라 맛의 식지 않은 돌풍을 다시금 입증했다.

엽떡은 24일 오전 공식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공지에서 “현재 예상보다 더 큰 고객님들의 관심과 호응 속에 판매량이 예상치를 초과해 ‘마라떡볶이 관련’ 초도 준비 물량이 전부 소진됐다”며 “물량을 빠르게 공급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안정적으로 판매 가능한 시점까지 일정 기간 동안의 공백이 예상된다. 이에 사과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마라떡볶이의 정상적인 판매는 8월 초부터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마라떡볶이를 제외한 다른 메뉴의 경우 정상적으로 판매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엽떡 마라떡볶이가 출시된 지난 18일 이후 배달 어플리케이션(앱) 등에서 품절돼 주문이 불가능한 상황을 토로하는 글들이 온라인상에 쇄도했다.

출시 사흘째에 “오전 11시 반에 배달앱 켰는데 다 품절이다”(에펨코리아)는 글이 올라오는가 하면 마라떡볶이 후기를 궁금하는 하는 글에 “언제나 품절이다”(더쿠)는 댓글과 이에 공감하는 댓글이 이어지기도 했다.

24일 동대문엽기떡볶이(엽떡)가 공식 소셜미디어(SNS)에 올라온 신제품 마라떡볶이 임시 품절 안내문

엽떡이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지난 18~23일 자사 앱에서 배달 시 4000원 할인, 방문포장 시 추가 3000원 할인 등 이벤트를 진행한 가운데 출시와 동시에 먹어본 ‘마라 마니아’들의 후기도 이어지고 있다.

한 ‘디미토리’ 이용자는 “기존 기본 엽떡을 시켜도 넓적당면 꼭 추가하는데 기본 토핑에 있어서 너무 좋았다”며 “맛은 마라소스 70, 엽떡소스 30인 느낌이고 마라샹궈 생각날 때 이걸로 대체될 만큼 마라향이 많이 났다. 한국형 마라 퓨전요리의 완성형”이라며 극찬했다.

반면 ‘인스티즈’의 한 이용자는 “나름 마라탕 좋아한다고 생각했는데 너무 마라 맛이라 당황했다. 엄청 자극적이라 한 젓가락 한 젓가락 먹을 때마다 내 몸에 미안해지더라”며 “마라 진짜 좋아하는 사람들한테만 추천한다”고 했다.

엽떡의 임시 품절 공지에는 “출시하자마자 먹길 잘했다”, “먹어보지도 못했는데” 등 네티즌들의 희비가 엇갈린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마라탕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제공

한편 젊은 여성층에서 시작된 마라 맛의 유행이 초등생들에게까지 퍼지며 학부모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지난해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배민)이 발표한 ‘배민트렌드 2022’에 따르면 2021년 배민에서 10대들이 가장 많이 주문한 메뉴 1위는 마라탕이었다. 네이버의 ‘2022 블로그 리포트’ 분석 결과에서도 10대 여성들의 1위 관심사 키워드가 ‘마라탕’이었다.

마라탕은 중국 쓰촨 지역에서 시작된 요리로 고추, 산초, 초피나무 열매, 팔각, 정향 등 다양한 향신료가 한 번에 들어간다. 고기와 해산물, 채소 등 재료도 들어가지만, 향신료로 인한 맵고 자극적인 맛과 기름진 음식이라는 점 때문에 아이들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최근 학부모들이 모인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내 아이도 자주 먹어서 (마라탕을 계속 먹으면) 용돈을 끊어버린다고 하니 아이가 ‘그럼 친구랑 놀지도 말란 소리냐’고 하더라”, “어려서는 맵지 않게 먹는 게 좋을 텐데 매운맛에 중독되지 않게 신경을 좀 써야 할듯하다” 등 걱정하는 반응이 올라오기도 했다.

[넷만세] 네티즌이 만드는 세상 ‘넷만세’. 각종 이슈와 관련한 네티즌들의 생생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습니다.

이정수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