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볍고 건강하게"…도시락부터 음료, 디저트까지 `저칼로리·저당` 인기

김수연 2023. 7. 21. 05: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품업계가 한끼 식사를 챙길 수 있는 도시락부터 마시는 음료, 디저트까지 저칼로리와 저당을 내세운 제품들로 소비자를 공략 중이다.

데리야끼, 양념치킨, 숯불매콤, 바비큐 등 4종으로 구성된 이번 신제품은 '비비드키친 저칼로리 소스'와 '저당 소스'로 맛을 내 1회 제공량 기준 단백질 함량은 19~28g에 달하는 반면, 열량은 255㎉ 이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부터) 베지밀 '하루건강 칼로리컷 두유', 동원홈푸드 비비드키친 '밥없는 저당 닭가슴살 도시락', 오뚜기의 '라이트 슈가 쨈', 라라스윗의 '생우유 파인트 아이스크림'. 각사 홈페이지 캡쳐

식품업계가 한끼 식사를 챙길 수 있는 도시락부터 마시는 음료, 디저트까지 저칼로리와 저당을 내세운 제품들로 소비자를 공략 중이다.

2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칼로리와 당을 낮췄으면서도 맛도 놓치지 않았다는 데에 초점을 두고 제품들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정식품의 '베지밀 하루건강 칼로리컷 두유'는 1팩(190㎖) 당 75K㎉의 저칼로리 제품으로 다이어트 중이거나 건강상 이유로 식단 조절을 해야 하는 소비자들을 공략 중이다. 기존 자사 두유보다 약40% 가량 칼로리를 낮췄다는 게 이 제품의 특징이다.

이 제품은 슈퍼푸드로 잘 알려진 렌틸콩부터 오트밀, 퀴노아, 국산 검은콩까지 다양한 곡물을 함유해 영양과 고소한 맛을 한 번에 잡은 제품이라고 정식품은 강조했다. 또 뼈 건강에 중요한 칼슘과 비타민D가 풍부하고 단백질과 식이섬유로 포만감도 누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저칼로리·저당 소스로 부담을 줄인 도시락도 있다. 동원홈푸드의 비비드키친은 '밥없는 저당 닭가슴살 도시락'을 선보였다. 데리야끼, 양념치킨, 숯불매콤, 바비큐 등 4종으로 구성된 이번 신제품은 '비비드키친 저칼로리 소스'와 '저당 소스'로 맛을 내 1회 제공량 기준 단백질 함량은 19~28g에 달하는 반면, 열량은 255㎉ 이하다. 또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단백질 위주의 식단을 원하는 소비자를 위해 밥과 곡물 대신 신선한 국내산 닭가슴살과 브로콜리, 양파, 파프리카 등 손질된 각종 채소를 담아 식단 관리에 활용하기 좋다.

과육 본연의 맛은 살리고 당 함량은 낮춘 잼도 출시됐다. 오뚜기는 '라이트 슈가(Light Sugar) 쨈' 2종을 선보였다. '딸기잼', '자두쨈' 등 2종으로 구성된 이번 제품은 잼 시장 점유율 상위 3개 제품 대비 당 함량을 30% 줄인 것이 특징이다. 단맛의 정도를 나타내는 감미도 역시 20% 낮췄다. 국내 특산지에서 수확한 제철 과일을 사용해 딸기쨈에는 논산 딸기를, 자두쨈에는 김천 자두를 원료로 활용해 과육의 달콤한 풍미를 가득 담아냈다. 제품 패키지에는 투명 라벨을 적용해 신선한 과육의 색과 질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저칼로리 아이스크림 브랜드 라라스윗은 최근 '생우유 파인트 아이스크림'을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에는 국내산 생우유가 50% 이상 사용돼 진한 우유의 풍미와 쫀득한 식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라라스윗은 설탕 양을 일반 아이스크림의 6분의 1 수준으로 줄이고 칼로리를 3분의 1 수준으로 낮춘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 밖에 여름철 조금 더 산뜻하고 가볍게 마실 수 있는 와인도 등장했다. 아영FBC는 최근 대표 와인 디아블로의 저칼로리 버전인 '디아블로 비라이트 소비뇽블랑'을 한정 출시했다. 이번에 선보인 디아블로 비라이트 소비뇽블랑은 한 잔(125㎖)당 75㎉로 기존 디아블로 소비뇽블랑보다 칼로리를 25% 정도 줄인 것이 특징이다. 알코올 도수도 8.5로 낮췄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