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차 예천서 2천500인분 밥 제공…폭염에도 복구지원 이어졌다

한무선 2023. 7. 19. 16: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집중 호우로 큰 피해가 난 예천 등 경북 북부지역 이재민을 돕기 위한 온정이 이어지고 있다.

수해 발생 이후 자원봉사자 900여명이 폭염에도 현장을 누비며 복구작업을 도왔고, 적십자사는 구조대원과 이재민들을 위해 2천500여인분의 음식을 만들어 식사로 제공했다.

19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이날 이장협의회, 부녀회 등 약 20개 민간 단체 자원봉사자 160여명이 호우 피해가 집중된 예천, 봉화, 문경, 영주를 중심으로 수해 복구에 힘을 보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인원 누계 900여명…토사 치우고 침수주택 청소에 세탁도

(예천=연합뉴스) 한무선 기자 = 집중 호우로 큰 피해가 난 예천 등 경북 북부지역 이재민을 돕기 위한 온정이 이어지고 있다.

수해 발생 이후 자원봉사자 900여명이 폭염에도 현장을 누비며 복구작업을 도왔고, 적십자사는 구조대원과 이재민들을 위해 2천500여인분의 음식을 만들어 식사로 제공했다.

해병대, 특별재난지역 복구 작업 (예천=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정부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19일 오전 경북 예천군 한 마을에서 해병대가 복구 작업을 펼치고 있다. 2023.7.19 image@yna.co.kr

19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이날 이장협의회, 부녀회 등 약 20개 민간 단체 자원봉사자 160여명이 호우 피해가 집중된 예천, 봉화, 문경, 영주를 중심으로 수해 복구에 힘을 보탰다.

자원봉사자들은 찌는 듯한 날씨에도 곳곳에 쌓인 토사를 치우거나 침수된 주택과 축사를 청소하는 등 생활 터전을 되살리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다.

또 식사와 간식을 전해주거나 세탁해주며 이재민의 고통을 함께 나누려 애썼다.

경북에서는 지난 16일부터 900여명이 넘는 자원봉사자들이 수해 현장에서 활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벌방리 산사태 현장 찾은 세탁차 (예천=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18일 오후 경북 예천군 감천면 벌방리 마을회관 앞 희망브리지가 운영하는 세탁차에서 산사태 피해 주민들의 옷가지가 세탁되고 있다. 2023.7.18 psik@yna.co.kr

대한적십자사 경북지사는 지난 14일부터 긴급재난구호대책본부를 운영하며 그동안 이재민 대피소에 긴급구호 세트 917개, 비상식량 세트 332개, 이재민 쉘터 249개, 담요 496개 등 구호품을 전달했다.

또 지난 15일부터 이동 급식차를 이용해 소방상황실이 있는 예천스타디움에서 구조·복구 작업에 투입된 소방대원, 군인, 이재민을 위해 2천500여인분 밥을 제공하고 이동 샤워차도 지원했다.

계속되는 비로 인한 이재민 증가에 대비해 비상식량 세트 770여개를 만들어 구호 물류창고에 비축해두기도 했다.

김재왕 경북적십자사 회장은 "더 이상 비 피해가 발생하지 않길 바란다"며 "비가 잦아들면 이재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돕겠다"고 말했다.

재난구호물류센터서 비상식량 세트 만드는 봉사원들 [경북 적십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통업체를 비롯한 기업체들은 적십자사나 재해구호협회를 통해 수재민을 위한 성금과 구호 물품을 보내오고 있다.

가수 영탁은 고향인 경북지역 재난구호 활동에 써달라며 1억을 기부했다.

예천의 한 숙박업소 업주는 수해를 입은 고향을 찾았으나 잘 곳이 없던 이에게 무료로 방을 내줘 주위를 훈훈하게 하기도 했다.

야속한 비 (예천=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18일 오후 경북 예천군 감천면 벌방리에서 한 주민이 쏟아지는 비에 복구 작업을 중단하고 피해를 본 집을 바라보고 있다. 2023.7.18 psik@yna.co.kr

경북에서는 이날 오전 11시 현재 19개 시·군에서 3천716가구 5천630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2천115가구 3천204명이 귀가하지 못한 채 경로당, 마을회관 등지에서 대피 생활을 하고 있다.

msha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