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기어 오르비 메시 공유기, 뭘 골라서 어떻게 쓸까?

2023. 7. 14. 15: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넷기어(Netgear)의 오르비(Orbi) 공유기 시리즈는 2017년에 첫 제품이 나왔을 때 상당한 화제를 불렀다. 당시에는 매우 생소했던 메시(Mesh) 기술을 지원했기 때문이다. 메시 기술 덕분에 오르비 시리즈는 공유기 본체인 라우터(Router), 그리고 확장용 AP(access point)인 새틀라이트(Satellite)를 조합해 와이파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라우터에서 뿌리는 신호를 새틀라이트가 받은 후, 주변에 다시 신호를 뿌리는 방법으로 와이파이 범위를 확장한다. 그리고 새틀라이트를 2대 이상 추가한 경우에는 새틀라이트 간에도 신호를 주고받으며 추가적으로 와이파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2대 이상의 AP를 조합해 와이파이 범위를 넓히는 메시(Mesh) 기술의 사례 (출처=넷기어)

단순히 일반 공유기 여러 대를 이용하더라도 와이파이 범위는 넓힐 수 있지만, 이 경우는 각 공유기마다 외부에서 들어온 유선 인터넷을 연결해 줘야 한다. 또한 와이파이 SSID(접속 목록)도 공유기마다 따로 생성되니 이용자가 위치를 바꿀 때마다 와이파이 접속도 다시 해줘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하지만 오르비 시리즈와 같이 메시 기술을 적용한 제품은 AP의 수가 늘어나도 유선 인터넷은 라우터 1대에만 연결하면 되며, 와이파이 SSID 역시 1개만 생성하므로 위치에 상관없이 끊김 없는 접속을 이어갈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세월이 흐르며 오르비 시리즈 역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었다. 메시 기술을 적용한 점은 같지만 세부적인 사양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처음 접하는 소비자는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하는지 혼란을 겪을 수도 있다. 2023년 현재 팔리고 있는 각 모델의 특징 및 적합한 이용 환경에 대해 살펴보자.

RBK12, RBK13 – 일반 가정, 원룸이나 기숙사 등에 적합

1+1 구성의 RBK12(왼쪽), 1+2 구성의 RBK13(오른쪽) (출처=넷기어)

: 2023년 현재 팔리는 오르비 시리즈 중에서 가정용, 입문형 모델에 속한다. 하지만 메시 기술이나 단일 SSID 생성, 그리고 오르비 전용 모바일 앱 지원 등, 오르비 시리즈의 핵심 기능은 대부분 지원한다. 또한 상위 모델에 비해 라우터 및 새틀라이트 유닛의 크기가 아주 작기 때문에 원룸이나 기숙사와 같은 좁은 공간에 설치가 용이하다.

무선 성능은 2.4Ghz 접속 시 최대 400Mbps, 5Ghz 접속 시 최대 866Mbps의 속도로 접속이 가능한 AC1200급이다. 최신 와이파이 규격인 와이파이6나 와이파이6E가 아닌 와이파이5 규격의 제품이라는 점은 다소 아쉽지만 최고 속도 보다는 호환성 및 안정성, 그리고 가성비를 중시하는 사용자라면 무리 없이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라우터와 새틀라이트가 1+1으로 구성된 RBK12, 그리고 1+2 구성의 RBK13 중 선택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환경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자.

RBK352, RBK353 – 홈 오피스 및 소규모 사무실용

1+1 구성의 RBK352(왼쪽), 1+2 구성의 RBK353(오른쪽) (출처=넷기어)

: 홈 오피스 및 소규모 사무실에 적합한 중간급 모델이다. 30평대 전후의 공간에서 최적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최대 25대의 무선 기기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방문객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용도로도 이용할 만하다.

와이파이6 규격을 지원하며, 무선 성능은 2.4Ghz 접속 시 최대 600Mbps, 5Ghz 접속 시 최대 1200Mbps의 속도로 접속이 가능한 AX1800급이다. 와이파이6 관련 사양은 평범한 수준이지만 2023년 현재 시중에서 이용하는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나 PC, 스마트 가전의 최대 성능을 이끌어내는데 큰 부족함은 없다. RBK352는 1+1 구성, RBK353는 1+2 구성이며 유닛 구성 외의 사양은 동일하다.

RBK852 – 본격적인 비즈니스 환경에 대응

넷기어 오르비 RBK852 (출처=넷기어)

: 고급 기능을 다수 탑재한 프리미엄급 제품으로, 30~50평대 이상의 넓은 공간에서 최대 80대 이상의 무선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강력한 성능을 갖췄다. 본격적인 비즈니스용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여러 단말기가 접속을 한 상태에서 동시에 고화질 동영상 스트리밍을 하거나 대용랑 파일을 업/다운로드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중견 규모 이상의 사무실이나 매장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무선 성능도 강력하다. 2.4GHz 접속 시 최대 1200Mbps, 5GHz 접속 시 최대 2400Mbps로 접속이 가능하며, 여기에 더해 라우터와 새틀라이트, 그리고 새틀라이트 사이를 최대 2400Mbps로 연결하는 용도의 전용 5GHz 대역을 하나 더 가지고 있다. 합계 성능은 AX6000급에 달하는데, 이는 시중에 팔리는 와이파이6 규격 공유기 중에서도 최상위급의 성능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기가비트(1Gbps) 규격 외에 2.5Gbps 규격의 유선 WAN 포트를 갖추고 있어 유선 성능 면에서도 남다르다. RBK852는 1+1 구성의 제품이며, 여기에 별도의 새틀라이트(RBS850)을 추가해 와이파이 범위를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RBKE962, RBKE963 – 최신 기술과 전문가급 성능 담은 최상위 모델

1+1 구성의 RBKE962(왼쪽), 1+2 구성의 RBKE963(오른쪽) (출처=넷기어)

: 극히 높은 네트워크 성능을 요구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최상위급 모델이다. 200여평 이상의 넓은 공간, 수백 대 이상의 단말기가 동시 연결되는 환경에도 대응하며, 최신 와이파이 규격인 와이파이6E를 지원해 전문가용 단말기를 비롯한 최신 하드웨어의 성능을 원활하게 이끌어낼 수 있다.

무선 성능은 2.4GHz 접속 시 최대 1200Mbps, 5GHz 접속 시 최대 2400Mbps의 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6E의 최대 특징인 6GHz 대역도 제공하며, 최대 4800Mbps의 접속 모드를 지원한다. 여기에 더해 각 AP(라우터와 새틀라이트) 사이를 잇는 최대 2400Mbps의 5GHz 대역도 가지고 있어 합계 대역폭이 AXE11000급에 달한다. 그리고 10Gbps의 유선 WAN 포트, 2.5Gbps의 LAN 포트를 갖추고 있는 등 유선 관련 성능도 최상위급이다. RBKE962는 1+1 구성, RBKE963는 1+2 구성이며 유닛 구성 외의 사양은 동일하다.

오르비 시리즈, 활용도 더 높이려면?

오르비 시리즈는 위와 같이 다양한 제품군을 가지고 있지만 몇 가지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제품의 관리를 돕는 오르비(orbi) 모바일 앱을 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초기 설치를 수월하게 할 수 있고, 제품을 이용하면서 원격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1+1 기본 세트로 이용하다가 좀 더 넓은 범위가 필요하다면 별도로 새틀라이트만 추가 구매해 와이파이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새틀라이트 없이 라우터만 단품으로 구매해 이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새틀라이트만 추가하는 이용 형태도 고려할 만하다.

라우터 및 각 새틀라이트를 유선으로 연결해 이더넷 백홀을 구성한 사례 (출처=넷기어)

또한, 오르비 시리즈와 같은 메시 지원 공유기는 라우터에만 외부 인터넷 케이블을 연결하고, 새틀라이트는 전원만 연결해 운용하는 경우가 많다. 설치 편의성 면에서는 이렇게 하는 것이 좋지만, 만약 좀 더 높은 네트워크 성능을 얻고자 한다면 라우터 및 각 새틀라이트를 유선으로 연결해 이더넷 백홀을 구성하는 방법도 있다. 이렇게 하면 장애물이 많거나 각기 다른 층수에 AP 유닛을 설치하더라도 네트워크 성능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방마다 LAN 포트가 마련된 환경이라면 한층 수월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동아닷컴 IT전문 김영우 기자 pengo@it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