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窓]일본의 '스페파'를 아시나요?

김인권 J트렌드 칼럼니스트 2023. 7. 11. 02: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인권 J트렌드 칼럼니스트2

가격 대비 성능이나 효율이 높다는 의미의 단어 '가성비'를 일본에서는 '코스파'라고 부른다. 같은 뜻의 영단어인 '코스트 퍼포먼스'(Cost Performance)를 일본식 발음을 차용하고 약어로 줄여 '코스파'로 명명했다. 이 단어는 일반생활이나 경제분야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폭넓게 쓰인다. 이와 비슷한 구조로 만들어진 '타이파'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는 코스트 대신 타임(Time)을 넣어 시간을 잘 지키고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2022년 올해의 베스트10 신조어에 선정된 이 단어는 예를 들어 2시간짜리 영화를 보는 시간을 견디지 못해 10분 안팎으로 요약한 동영상조차 2배속으로 빠르게 본다든가 할 때 사용된다.

그런데 최근 일본에서 '코스파' '타이파'에 이어 '스페파'라는 단어가 관심을 크게 받고 있어 화제다. 말 그대로 '스페이스 퍼포먼스'(Space Performance), 즉 공간에 대한 가성비를 의미하며 이와 관련한 새로운 비즈니스가 속속 출현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로 집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 소비자에게 '스페파'의 가치는 더욱 높아졌다. 공간사용 방식을 검토하면 시간과 비용의 효율성도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쿄에 거주하며 캠핑을 좋아하는 한 직장인이 집에서 캠핑의자와 접이식 테이블, 침낭, 빔프로젝터 등을 사용하다 주말에는 캠핑장으로 가져가 야외활동을 즐기는 '스페파'의 전형적인 모습들이 SNS 콘텐츠로 화제가 되곤 한다.

여기에 한술 더 떠 아웃도어 브랜드는 아예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캠핑장비 판매에 집중한다. 캠핑 전문 브랜드 콜맨(Coleman)은 실내에서 사용하기 쉽고 수납공간이 필요 없는 소형 캠핑제품을 내놓는데 대표적인 상품이 '에어카우치더블'로 공기를 주입해 사용할 수 있는 2인용 소파다. 집에서 사용할 수 있게 너무 많이 가라앉지 않는 적당한 탄력성으로 편안하게 만들었고 사용할 때는 폭이 160㎝지만 떼어내고 접으면 핸드백 사이즈가 된다.

전기오토바이를 제조하는 스타트업 이코마(ICOMA)는 '타타멜바이크'(Tatamel Bike)라는 접히는 오토바이를 개발했다. 주차장이 없는 집이나 사무실을 가정해 작은 책상 아래에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여행가방 크기로 접히는 오토바이다. 도심의 높은 주차요금을 전혀 걱정할 필요 없는 정사각형 모양의 이 제품은 빠르면 올해부터 소량판매를 시작할 계획이지만 이미 잠재 구매자의 문의가 쇄도한다.

죽어 있는 공간을 활용한 제품도 인기다. 사이타마현에 사는 한 남성이 최근 주택개조 중 화장실 바닥에 체성분분석기 '노르네'(NORNE)를 매립하는 장면이 인스타에 올라오면서 화제인데 이 제품은 주택건축자재 제조업체 조토네크노(Joto Techno·오사카시)가 타니타(Tanita·도쿄 이타바시)와 지난해 9월 공동개발했다. 기존 체성분 장치가 공간을 꽤 차지하고 거추장스러워 욕실의 죽은 공간을 활용하는 아이디어와 함께 개발하게 됐다는데 처음에는 그 필요성을 의심했으나 예상보다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코로나를 겪으면서 소비자가 '스페파'를 절실히 경험한 분야야말로 비상 생활용품을 비축할 수 있는 공간 효율화일 것이다. 이 결과 일부 제품의 매출이 증가했는데 대표적인 제품이 '긴 화장지'다. 표준 길이 제품과 거의 같은 크기지만 2~3배 길이라는 것이 매력적이다. 긴 화장지의 점유율은 지난 1월 추산한 결과 3년 전보다 약 12%포인트 상승한 30%를 달성했다. 인기를 끄는 이유 중 하나는 좁은 공간에 많은 양을 비축할 수 있기 때문인데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도 배송 및 보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밖에 스틱형 헤어드라이어, 스틱타입의 다양한 화장품 등 공간활용 고효율에 최적화한 스틱타입의 신제품들도 각광받는다.

일본 주택금융청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주택의 평균 넓이가 10년 전 대비 약 1% 감소했다고 한다. '축소지향의 일본인'들이 일으킨 '스페파' 열풍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인권 J트렌드 칼럼니스트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