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캐릭터 상품이 뭐길래 ‘오픈런’까지… 네이버웹툰 팝업스토어에 8일간 3만명 다녀가

이소연 기자 2023. 7. 10. 10: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웹툰 팝업스토어, 캐릭터 굿즈 구매 위해 평일 새벽부터 ‘오픈런’
아이돌 팬덤만큼 강력한 웹툰 캐릭터 팬덤
캐릭터 굿즈 구매에 억단위 모금은 기본
7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 네이버웹툰 팝업스토어 앞에서 웹툰 팬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이소연 기자

“아침 9시에 도착했는데 이미 새벽부터 대기한 팬들이 팝업스토어를 빙 둘러 긴 줄이 만들어진 상태였다. 198번 대기표를 받았다. 근처에서 계속 기다리다가 이제야 입장한다.”

7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삼성동 스타필드 코엑스몰 네이버웹툰 팝업스토어에서 만난 한 20대 직장인은 이렇게 말했다. 스스로를 ‘웹툰 덕후’라고 소개한 그는 이날 웹툰기획상품(굿즈)을 구매하기 위해 경기도 이천에서 왔다고 한다.

네이버웹툰은 지난달 29일부터 오는 12일까지 자사 인기 웹툰 ‘마루는 강쥐’와 ‘냐한 남자’ 캐릭터를 활용한 260여개 상품을 판매하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웹툰 팬들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상점은 현장예약 없이 입장이 불가하다. 이날 대기표는 평일임에도 오전 11시 900번째 팀(1팀당 최대 2명)을 끝으로 대기 접수가 마감됐다. 주말에는 대기 인원이 2000명을 넘어가기도 한다.

20평 남짓한 팝업스토어는 웹툰 팬 80여명으로 북적였다. 현장 대기에 성공한 이들은 장바구니에 웹툰 캐릭터가 그려진 슬리퍼, 인형, 공책 등 물건을 가득 채워 넣고 있었다. 대기표를 받는데 실패한 수십여명은 100㎝ 안팎 크기의 웹툰 캐릭터 조형물 옆에서 사진을 찍고 발걸음을 돌렸다.

7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몰에서 열린 네이버웹툰 팝업스토어의 모습. 현장 입장 예약은 오전 11시에 마감됐다./이소연 기자

◇ 아이돌 팬덤만큼 강력한 웹툰 팬덤

웹툰업계가 자사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팬덤’ 사업에 뛰어들었다. 아이돌 팬덤만큼 강력한 웹툰 팬덤을 활용해 IP를 활용한 각종 굿즈 판매 등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10일 네이버웹툰에 따르면 ‘마루는 강쥐’와 ‘냐한 남자’ 웹툰 팝업스토어 누적 방문객 수는 6월 29일부터 지난 6일까지 3만명을 넘겼다. 지난 5월 서울 영등포구 더현대에서 열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웹툰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팝업스토어에도 2만명에 가까운 방문객이 다녀갔다. 방문객 1인당 평균 구매 금액은 50만원에 달했다.

네이버웹툰이 지난 5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텀블벅에서 진행한 웹툰 ‘세기말 풋사과 보습학원’ ‘철이와 미애의 풋사랑향 향수’ 펀드 모금에는 4억6178만원의 금액이 모였다. 지난해 동일한 플랫폼에서 진행된 네이버웹툰 ‘화산귀환’ 단행본 제작 크라우드펀딩에는 12억8365만원이 모이기도 했다.

웹툰 캐릭터에 대한 인기는 엔터테인먼트 업계 아이돌 팬덤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웹툰에서 공개된 웹툰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의 삽입곡 ‘락다운’은 지난달 27일 발매 하루 만에 100만 스트리밍을 달성하면서 음원 플랫폼 멜론에서 ‘멜론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웹툰 상 캐릭터가 부른 음악이 방탄소년단과 아이브 등 진짜 아이돌과 함께 나란히 차트에 오른 것이다.

웹툰 세기말 풋사과 보습학원 향수 크라우드펀딩./ 텀블벅 캡쳐

◇ 웹툰업계 목표는 IP 사업 확대… ”기존 광고·콘텐츠 수익 넘자”

웹툰업계는 강력한 팬덤을 기반으로 출판, 음원, 크라우드펀딩, 이모티콘, 굿즈 상품 등 다방면으로 IP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 웹툰 콘텐츠로 발생하는 수익과 광고 수익을 넘어 IP를 기반으로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아이돌 음반 판매를 시작으로 아이돌 캐릭터를 이용한 각종 게임, 웹툰, 굿즈 사업까지 확장한 것과 유사하다.

네이버웹툰에 따르면 IP 비즈니스로 추가 수익을 얻은 네이버웹툰 작품수는 2013년 8개에서 지난해 415개로 늘었다. 2013년까지만 해도 연재 창작자가 웹툰 IP를 활용해 수익을 얻는 방법은 미리보기, 다시보기, 배너광고 등 9개에 불과했지만, 기업 홍보용 웹툰, 굿즈, 게임 등 다양한 수익 방법이 생기면서 지난해 21개까지 늘어났다. 네이버웹툰 온라인 스토어 웹툰프렌즈에서 올해 상반기 판매한 굿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00% 증가하기도 했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지난 4월 기자간담회에서 “원작 IP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비즈니스를 통해 발생하는 매출이 커질 것”이라며 “2025년까지 월평균 500만원의 IP 비즈니스 매출을 발생시키는 작품을 연 500개 이상 확대하는 게 목표”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