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원' 애니 시장 잡아라…제2핑크퐁 노리는 캐릭터 스타트업들

고석용 기자 2023. 7. 10.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최대의 애니메이션·캐릭터 기업 박람회인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가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는 애니메이션·캐릭터 대기업들 뿐 아니라 '로보카폴리', '출동!슈퍼윙스', '다이노파워즈' 등을 제작한 벤처·스타트업들도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콘텐츠 산업은 아직 K팝과 영화·드라마 등이 주력이지만, 더핑크퐁컴퍼니가 유니콘기업으로 등극하는 등 애니메이션·캐릭터 분야의 벤처·스타트업들도 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왼쪽부터)로이비쥬얼의 로보카폴리, 퍼니플럭스의 '출동!슈퍼윙스'

국내 최대의 애니메이션·캐릭터 기업 박람회인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가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는 애니메이션·캐릭터 대기업들 뿐 아니라 '로보카폴리', '출동!슈퍼윙스', '다이노파워즈' 등을 제작한 벤처·스타트업들도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9일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릴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 2023'에는 국내 104개, 해외 7개 애니메이션·캐릭터 기업이 참여한다. '핑크퐁·아기상어' 제작사인 더핑크퐁컴퍼니부터 '뽀롱뽀롱 뽀로로' 제작사 아이코닉스, '시크릿쥬쥬'의 영실업 등이 대표적이다.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는 매년 1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행사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 코엑스가 공동 주관한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캐릭터·콘텐츠 관련 산업을 전개하는 벤처·스타트업들도 대거 참여한다. '로보카폴리'를 제작한 로이비쥬얼이 대표적이다. 로이비쥬얼은 2004년 설립돼 업력 20여년차 기업이지만, 2018년 벤처투자시장에서 투자를 유치한 벤처기업이다. 당시 로이비쥬얼은 한국투자파트너스,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벤처투자, SV인베스트먼트 등에서 200억원을 유치했다.

'엄마까투리', '출동!슈퍼윙스'를 제작한 퍼니플럭스도 2015년 중국 완구사인 알파그룹에서 850만달러(약110억원)를 투자 유치한 기업이다. 투자유치 이후 퍼니플럭스는 '출동!슈퍼윙스'를 미국, 남미, 유럽 등 90여개국에 방영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과를 거뒀다. 아울러 '엄마까투리', '시계마을 티키톡' 등도 제작했다.

(왼쪽부터)도파라의 다이노파워즈와 키뮤가 삼성전자에 공급한 디자인 테마

스타트업들도 대거 참여한다. 업력 8년차 스튜디오 도파라와 소셜벤처 키뮤 등이 대표적이다. 2016년 설립된 도파라는 공룡로봇이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다이노파워즈'를 제작한 신생 스튜디오다. 다이노파워즈는 국내 시장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애니메이션·완구 시장에서도 성과를 내면서 이목을 끌고 있다.

소셜벤처 키뮤는 발달장애인을 교육해 디자이너로 채용까지 진행하는 소셜벤처다. 1000명 이상의 발달장애인을 교육하고 그 중 일부는 디자이너로 직접 고용하기도 했다. 난민, 환경 등 사회적 문제를 주제로 작품을 만들기도 한다. 지난해부터는 삼성전자와 협업해 스마트폰, TV, 냉장고 등에 테마 디자인을 공급하기도 했다.

한편 대외환경 악화 속에서도 K콘텐츠 산업들은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벤처투자액은 전년동기대비 60.3% 감소했지만 영상·공연·음반 등 콘텐츠 분야 벤처투자는 같은기간 8.5% 증가했다.

콘텐츠 산업은 아직 K팝과 영화·드라마 등이 주력이지만, 더핑크퐁컴퍼니가 유니콘기업으로 등극하는 등 애니메이션·캐릭터 분야의 벤처·스타트업들도 늘고 있다. 문체부는 애니메이션 산업 시장규모가 2020년 28억달러(3조6500억원)에서 2024년 73억달러(9조5200억원)로 연평균 26.6%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고석용 기자 gohsy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