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시설 1만3000개 더 생길 때, 어린이집은 9000곳 없어졌다

민서영 기자 2023. 7. 2. 11: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

저출생·고령화 심화로 지난 5년간 노인복지시설이 1만3000개 늘어날 동안 어린이집은 1만 곳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30일 공표한 ‘2023 노인복지시설 현황’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노인복지시설은 8만9643곳이고 입소 정원은 36만4116명이었다. 이는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등 노인여가복지시설,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위한 노인의료복지시설, 방문요양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일자리지원기관 등을 모두 합친 숫자다.

2017년 말 7만6371곳이었던 전국 노인복지시설은 5년만에 1만3272곳(17%)이나 늘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 7만7395곳, 2019년 7만9382곳, 2020년 8만2544곳, 2021년 8만5256곳, 2022년 8만9643곳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입소 정원도 5년새 14만4650명(66%) 급증했다.

종류별로는 방문요양서비스 제공기관이 2017년 1001곳에서 지난해 말 5808곳으로 5년 사이 5.8배 늘었다. 같은 기간 방문목욕서비스와 주·야간보호서비스 기관 등이 빠르게 늘면서 재가노인복지시설도 3216곳에서 1만3217곳으로 1만곳 넘게 증가했다.

요양원 등 노인의료복지시설은 2017년 말 5242곳에서 지난해 말 6069곳으로 늘었고, 노인복지시설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경로당은 같은 기간 6만5604곳에서 6만7211곳으로 1607곳 증가했다. 반면 양로시설 등 노인주거복지시설은 404곳에서 308곳으로 줄었다.

이 같은 노인복지시설의 증가는 고령화의 영향이다. 2017년 말 735만6000여명이었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지난해 말 926만7000여명으로 191만명 넘게 급증했다.

서울 낮 최고기온이 28도까지 오르는 등 전국이 초여름 날씨를 보인 지난달 4일 아이들이 서울 광화문광장 바닥분수에 뛰어들어 더위를 식히고 있다. 강윤중 기자

노인복지시설이 1만여개 늘어날 동안 어린이집은 저출생 심화로 1만 곳 가까이가 폐업했다. 복지부의 ‘2022년 말 기준 보육통계’를 보면 지난해 말 전국 어린이집은 3만923곳으로 2017년 말 4만238곳에서 9315곳 줄었다.

국·공립 어린이집은 3157곳에서 5801곳으로 늘었지만, 가정·민간 어린이집이 줄폐업했기 때문이다. 5년동안 가정 어린이집은 1만9656곳에서 1만2109곳으로, 민간 어린이집은 1만4045곳에서 9726곳으로 줄었다.

민서영 기자 min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