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설탕 탄산음료 이제 못마시나...WHO ‘아스파탐’ 발암 가능성 물질 분류 파장

염현아 기자 2023. 6. 30. 17: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무설탕 음료에는 설탕을 빼고 칼로리를 줄이기 위해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이 필수로 사용된다.

그런데 세계보건기구(WHO)가 설탕을 대체하는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다음달 14일 아스파탐을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2B군)'로 분류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HO, 인공감미료 아스파탐 ‘발암 가능성 물질’ 분류 예정
과학계 “이미 안전성 확인…발암물질 확정은 시기상조” 지적도
식품업계도 반발…“WHO 연구 신빙성 떨어져”
'코카콜라 제로'(왼쪽)와 '펩시제로 슈거'./각사 제공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무설탕 음료에는 설탕을 빼고 칼로리를 줄이기 위해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이 필수로 사용된다. 그런데 세계보건기구(WHO)가 설탕을 대체하는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다음달 14일 아스파탐을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2B군)’로 분류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9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IARC는 암을 얼마나 유발하는지에 따라 식품과 화학물질을 5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위험도가 가장 높은 1군은 ‘발암 물질’로 담배와 석면, 가공육 등이, 2A군은 ‘발암 추정 물질’로 붉은 고기, 고온의 튀김, 우레탄 등이다. 아스파탐이 분류될 2B군은 ‘발암 가능 물질’로 인체 자료나 동물 실험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속한다.

설탕의 200배 단맛을 내는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은 최근 설탕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제로 코카콜라’를 비롯한 무설탕 음료, 사탕, 껌 등 다양한 ‘제로 칼로리’ 식품에 사용되고 있다.

과학계는 IARC의 이번 결정이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나온다. 건터 쿤레 영국 리딩대 영양·식품 과학과 교수는 과학언론 지원기관인 사이언스 미디어 센터를 통해 “다양한 규제 기관에서 조사한 결과 아스파탐을 일일 제한량 이내로 섭취하면 부작용이 없다고 했다”며 “물론 새로운 증거가 나오면 지침이 바뀔 수 있지만 이러한 결정을 추측하고 불필요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앞서 올해 초 WHO 산하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을 하루 최대 40㎎/㎏ 섭취해도 부작용이 없다는 연구결과를 낸 바 있다. 몸무게 60㎏의 성인은 하루에 다이어트 콜라를 12~26캔 마셔도 무방하다는 내용이었다.

올리버 존스 호주 RMIT대 화학과 교수도 “IARC의 공식적인 발표가 있기 전까지는 아스파탐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확정하기 어렵다”며 “IARC가 어떤 조건과 기준을 토대로 평가했는지 구체적으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IARC의 발암 물질 분류 소식에 식품 업계도 크게 반발하고 있다. 코카콜라가 회원사로 소속된 국제감미료협회(ISA)의 프랜시스 헌트-우드 사무총장은 “IARC는 과학적으로 신빙성이 떨어지는 연구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내에 판매되고 있는 제로 칼로리 음료 중에는 펩시 제로에만 아프파탐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카콜라 제로, 스프라이트 제로, 환타 제로 등 제로 음료에는 아스파탐 대신 수크랄로스와 아세설팜칼륨이 들어간다.

국내 주류 업체 중에서는 아스파탐을 사용하고 있는 곳이 없다. 소주는 아스파탐이 아닌 주로 스테비아로 단맛을 내고, 맥주는 인공감미료를 넣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롯데칠성음료의 ‘처음처럼 새로’, 하이트진로의 ‘진로이즈백 제로’와 같은 주요 제로 슈거 소주들도 아스파탐을 사용하지 않는다. 진로이즈백 제로의 경우 효소처리스테비아, 에리스리톨, 토마틴 등의 감미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서울장수 생막걸리, 국순당 생막걸리 등 일부 막걸리 제품에는 아스파탐이 들어간다. 해당 제품의 업체들은 WHO 방침과 규제당국의 기준에 따라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