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씨, 2023년 독한 장마...시간당 최대 60mm‘물벼락’

2023. 6. 26. 00: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오늘날씨,내일날씨 ©bntnews

월요일인 오늘(26일) 정체전선(장마전선)의 북상으로 전국이 흐리고 비가 내리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19~23도, 낮 최고기온은 24~27도가 되겠다. 기온은 전날(25일)보다 2∼7도가량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3년 본격 장마철에 접어든 한반도는 강풍을 동반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해야겠다. 이번 장맛비는 27일 오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전날(25일)부터 이틀간 예상 강수량은 제주도 100∼200mm(많은 곳 300mm이상), 전라·경남권 50∼120mm(많은 곳 150mm 이상), 충청·경북권 30∼100mm다.

수도권·강원 내륙과 산지, 울릉도·독도·서해5도는 오늘(26일) 하루 30∼100mm, 강원 동해안은 10∼50mm의 비가 내리겠다. 이처럼 장마 시작부터 물벼락을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상청은 27일까지 제주산지에 최대 500㎜ 안팎으로 비가 올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내일(27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아래와 같은 시간에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매우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겠으니 비 피해 없도록 대비해야겠다.

강수 집중 시간과 강도를 보면 △ 남부지방, 제주도: 오늘(26일) 밤~내일(27일) 오전/ 시간당 20~40mm △ 전라권: 오늘(26일) 오전/시간당 20~40mm(전남해안 시간당 40~60mm) △ 경남권: 오늘(26일) 오전/시간당 20~40mm(지리산, 남해안 시간당 40~60mm) △ 수도권, 강원내륙.산지, 충청권, 경북북부내륙: 오늘(26일) 새벽~오전, 늦은 오후~밤/ 시간당 20~40mm 

©기상청: 오늘(26일) 오전 전국날씨

주요 도시별, 지역별 아침 최저기온은 △서울 22도 △인천 22도 △춘천 21도 △강릉 21도 △대전 22도 △대구 22도 △전주 23도 △광주 23도 △부산 22도 △제주 24도다.

낮 최고기온은 △서울 26도 △인천 24도 △춘천 25도 △강릉 28도 △대전 26도 △대구 28도 △전주 27도 △광주 26도 △부산 25도 △제주 30도다.

제주에는 바람이 순간시속 70km 이상으로 매우 강하게 분다. 서해안에도 시속 55km 이상 강하게 불겠다.

©기상청: 오늘(26일) 오후 전국날씨

서해 먼바다와 제주 먼바다, 제주 서부 앞바다, 남해 서부 먼바다, 동해 먼바다에 시속 30~60km의 강풍이 불고 바다 물결도 1.5~4.0m로 매우 높게 일겠다.

제주해상과 남해상, 서해상에는 안개가 짙게 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과 강수의 영향으로 전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화요일인 내일(27일)은 전국 곳곳에 강한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돼 돌풍과 천둥·번개로 인한 안전·교통사고에 유의해야겠다.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20~24도, 낮 최고기온은 26~32도가 되겠다.

©기상청: 내일(27일) 오전 전국날씨

기상청은 특히, 계곡이나 하천에서는 급격히 물이 불어날 수 있으니 야영을 자제하고 하천변 산책로와 지하차도 등이 고립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28일(수) 정체전선(장마)과 정체전선상에서 발달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28일(수)에 전국 대부분 지역에 가끔 비가 오겠다.

©기상청: 모레(28일) 오전 전국날씨

29일(목)부터 30일(금) 사이 전국에 비가 오겠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7월 1일(토)까지 비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21~24도, 낮 최고기온은 26~32도가 되겠다.

기상청 주간 날씨예보에 따르면 7월 2일(일) ~ 5일(수)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전국이 흐리겠고, 아침 최저기온은 21~24도, 낮 기온은 27~32도가 되겠다.

장마기간 중부지방 평균 31.5일‧ 강수량 378.3mm

한편, 기상청 기상자료에 따르면 장마 시작일 평년값은 중부지방은 6월25일, 남부지방은 6월23일, 제주지방은 6월19일이다.

장마기간은 중부지방이 평균 31.5일 강수일수 평균 17.7일, 평균 강수량은 378.3mm이다.

최근 10년간 장마 평균값 종료일(끝)은 중부지방은 7월26일, 남부지방은 7월24일, 제주지방은 7월20일이다. 

장마기간 중 전국 평균 강수량이 가장 많은 해는 2020년으로 696.5mm, 가장 적은해는 2014년 146.2mm이다.

기상청은 과거 장마 예상시기를 발표했지만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장마 예상시기가 많이 변하고 정확도가 떨어져 국민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이유로 장마예보는 하지 않고 통계치를 제공하고 있다.

기상청, 올 여름 덥고 강수량 평년보다 많아 

기상청은 7월부터 9월까지의 3개월 기상전망과 여름철 방재 대책에 따르면, 이번 3개월 전망 가운데 여름철(7~8월)의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각각 40%로 전망됐다.

기상청의 기후예측모델을 포함해 미국, 영국 등 전 세계 11개 기상청의 471개 기후예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여름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56~63%로, 강수량은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39~47%로 각각 나타났다.

기상청은 특히, 엘니뇨가 발달함에 따라 우리나라 부근에는 저기압성 순환이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는 강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기후변화에 따라 여름철 폭염과 열대야, 집중호우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재난이 증가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제주도를 시작으로 25일~26일 사이 전국 동시 장마가 시작된 가운데. 2023년 올해 장마기간(장마시기)과 강수량의 변동성이 커졌고, 집중호우가 내리는 빈도도 늘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우리가 학습하고 지금까지 경험한 것과는 완전히 다른 양상의 장마, 즉 비정형성에 대해도 언급했다.

기상청은 앞으로 태풍 4호 ‘탈림’의 영향권이 주목되는 가운데, 태풍이 국내 상륙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육상이동 경로를 기존 6시간에서 3시간 간격으로 더욱 세분화된 태풍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

Copyright © bnt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