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한 배당' 한솔홀딩스·한솔제지… 경영권 승계 앞둔 한솔케미칼

김동욱 기자 2023. 6. 20. 06: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한때 '리틀 삼성'으로 불렸던 한솔] ② '지분 확대 필요' 조연주 한솔케미칼 부회장

[편집자주]과거 '리틀 삼성'으로 불렸던 한솔그룹이 대기업집단에 복귀했지만 현재 놓인 경영환경과 미래가 밝지 않다. 주력 계열사인 한솔제지와 한솔케미칼은 올해 1분기 실적 악화를 겪었고 태양광 사업을 영위해 미래 먹거리로 꼽혔던 한솔테크닉스도 경쟁력이 떨어진다.

한솔홀딩스와 한솔제지가 배당을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지급할 전망이다. 사진은 한솔그룹 을지로 사옥. /사진=머니투데이 DB(한솔그룹 제공)
▶기사 게재 순서
①'대기업 복귀' 한솔그룹, 실적 악화 직격탄…미래 먹거리 필요
②'꾸준한 배당' 한솔홀딩스·한솔제지… 경영권 승계 앞둔 한솔케미칼
③'범삼성家' 한솔그룹, 찬란한 영광 재현 필요
실적과 관계없이 일정 수준의 배당을 지급하는 한솔홀딩스와 한솔제지가 올해도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솔케미칼은 조동혁 회장에서 장녀 조연주 부회장으로 경영권 승계가 시작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자금 부담을 덜기 위해 주가 하락 시기에 조연주 부회장이 지분 확대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한솔홀딩스·한솔제지… 실적 무관한 꾸준 배당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한솔홀딩스와 한솔제지의 배당 추이. /그래픽=이강준 기자
한솔홀딩스와 한솔제지는 올해 실적 악화를 겪을 전망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에 따르면 한솔제지는 올해 매출 2조5494억원, 영업이익 1005억원을 거둘 전망이다. 전년 대비 매출은 3.7% 늘겠지만 영업이익은 22.8% 준다. 컨센서스가 공개되지 않은 한솔홀딩스도 한솔제지를 비롯해 한솔케미칼 등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 악화로 인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솔홀딩스와 한솔제지는 실적 악화에도 배당금은 유지할 것이란 게 지배적인 시각이다. 한솔홀딩스는 최근 3년 당기순이익은 ▲2020년 712억원 ▲2021년 216억원 ▲2022년 481억원 등으로 변했지만 주당 배당금은 120원이었다. 올해 수익이 줄면 배당은 유지하되 경영권 승계와 관계없는 자사주 매입 등은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한솔홀딩스는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연간 잉여현금흐름(FCF)의 30~40%를 현금배당 및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 재원으로 활용한다.

한솔제지 최근 3년간 주당 배당금은 ▲2020년 700원 ▲2021년 600원 ▲2022년 700원이다. 이 기간 당기순이익은 593억원, 137억원, 738억원으로 변했다. 당기순이익이 많게는 600억원 이상 차이가 났지만 배당금 총액은 차이가 23억원에 그쳤다. 한솔제지는 구체적인 배당 정책이 규정돼 있지는 않고 당기순이익의 25~35%를 주주환원 정책에 사용한다.

조동길 회장은 지난해 받은 한솔홀딩스 배당금은 8억6835억원으로 추산된다. 조동길 회장이 보유한 한솔홀딩스 주식은 723만6218주(17.2%)다. 한솔제지의 경우 조동길 회장 지분이 없으나 한솔홀딩스가 한솔제지로부터 받은 배당(50억8041만원)이 한솔홀딩스 수익으로 잡히면서 조동길 회장에 대한 배당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솔홀딩스는 한솔제지 725만7728만주(30.5%)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지분 확대 필요' 조연주 한솔케미칼 부회장


조연주 한솔케미칼 부회장. /사진=머니투데이 DB(한솔케미칼 제공)
한솔케미칼 관련 주목받는 것은 총수일가 경영권 승계다. 조동혁 회장 후계자로 꼽히는 조연주 부회장의 회사 지분이 1.4%에 불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조동혁 회장(11.7%), 국민연금(12.0%), 블랙록 펀드 어드바이저(6.1%), VIP자산운용(5.0%)이 보유한 지분을 크게 밑돌아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선 지분 확대가 필수다. 조동혁 회장(1950년생)이 고령인 데다가 조연주 부회장이 주요 사업을 경험하며 명분을 쌓아온 점을 고려하면 조만간 승계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경영권 승계작업은 주가 하락 시기에 이뤄질 전망이다. 지분 확보에 필요한 총수일가의 자금 부담을 덜기 위해서다. 조동혁 회장은 지난해 1월5일 조연주 부회장에게 한솔케미칼 주식 15만7000주를 증여한 뒤 3월24일 취소했다가 이튿날 같은 규모의 주식을 다시 증여했다. 증여일 전후 2개월, 총 4개월 동안의 종가 평균치를 주식 증여 재산으로 평가하는 방식을 이용, 증여세 부담을 덜겠다는 의도였다.

당초 증여일의 2개월 전인 2021년 11월5일 33만8500원이었던 한솔케미칼 주가는 2022년 1월5일 28만8000원까지 떨어졌다. 2개월 뒤인 3월4일 21만7000원까지 내렸다. 3월25일 실제 증여가 이뤄진 후에는 등락을 반복하며 5월25일 25만2500원까지 올랐으나 30만원 안팎을 기록했던 2021년 11~12월보다는 주가가 낮아 결과적으로 증여세 부담을 낮췄다. 조연주 부회장은 2022년 2월10일 한솔케미칼 주식 110주(종가 23만2500원)를 매입하는 등 주가 하락 시기를 직접 노리기도 했다. 당시 주가는 한 달 전(27만3000원)보다 14.8% 낮았다.

기업의 영속 경영을 위한 승계작업은 중요하다. 이를 위한 과정에서 미래의 생존기반을 갉아먹는 것은 소탐대실이 될 수 밖에 없다. 100년 기업들의 대체적인 특징에는 '주주, 임직원, 협력업체는 물론 미래의 소비자, 취업예비자들'로부터도 관심과 애정의 끈을 놓치지 않으려는 한결같은 노력들이 발견된다.

김동욱 기자 ase84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