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처 몰랐던 ‘초등 ADHD’ 증상, 검사, 치료 방법

김도환 2023. 6. 16. 14: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하이닥 의학기자 김도환 원장ㅣ출처: 하이닥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여러 가지 걱정이 들기 마련입니다. 특히 우리 아이가 초등 ADHD에 해당하지는 않을지 걱정하는 분들이 적지 않은데요. 이번 칼럼에서는 유아∙어린이∙초등 ADHD 증상과 검사, 치료 방법에 대해, 그리고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효과적인 한의학적 치료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초등 ADHD 증상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주의력 부족, 과잉 활동성, 충동성 등의 증상이 특징인 신경학적인 질환입니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아동들이 가장 흔하게 진단받는 신경학적 장애 중 하나입니다. ADHD는 아동의 발달과 학업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가족관계나 학교 생활에도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초등학교 시기 아동의 ADHD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사항에 50% 이상 해당된다면 검사와 상담을 받아 보길 권합니다.

1. 주의력 부족
- 수업 시간 동안 주의를 집중하기 어려움
- 지시사항을 따르기 어려움
- 실수가 많고 쉽게 주의를 분산시킴
- 잡생각이 많고 마음이 쉽게 새로운 것에 끌림

2. 과잉 활동성
- 자리에 가만히 앉아 있기 어려움
- 잠시도 가만히 있기 어려움
- 돌아다니거나 뛰어다님
- 말을 많이 하거나 답을 끝까지 기다리지 않고 성급하게 대답함

3. 충동성
- 순간적인 충동으로 행동함
- 대화나 행동에 예측 없이 즉각적인 반응을 보임
-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지 않고 다른 사람을 가로채려 함
- 무리한 위험을 감수하거나 안전규칙을 무시함

이러한 증상은 ADHD 아동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주의력, 과잉 활동성, 충동성이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될 수 있습니다. 만약 자녀가 ADHD 증상을 보인다면, 전문가인 소아정신과 의사나 한의사, 심리학자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DHD는 다양한 문제를 낳을 수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초등 ADHD 검사
초등학교 아동의 ADHD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평가 도구와 절차가 사용됩니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DHD 검사 절차입니다.

1. 초기 평가
- 부모와 교사 인터뷰: 부모와 교사는 아동의 행동, 주의력, 학습 능력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 아동 행동 관찰: 아동이 수업 시간 동안 어떻게 행동하는지, 주의력과 활동성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관찰합니다.

2. 진단 도구
주의력과 과잉 활동성 증상을 평가하는 검사 도구로는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기준을 따르는 ADHD 평가 척도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평가 척도에는 부모, 교사 및 자녀의 보고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Conners 어린이 행동 평가척도, ADHD 평가 척도-IV, ADHDT-IV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부가적인 평가
- 지능 검사: 아동의 학업적 능력과 지능을 평가하기 위해 지능 검사가 수행될 수 있습니다.
- 학교 성취도 평가: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 학교 생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 과정을 통해 의사나 심리학자는 아동의 증상과 기능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ADHD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ADHD 진단은 전문가의 의견과 평가에 기반해야 하며, 자체 진단이 아닌 전문가와의 상담과 평가를 통해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초등 ADHD 치료방법
초등학교 아동의 ADHD 치료는 아이에게 맞는 다양한 방법을 조합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DHD 치료 방법 몇 가지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행동 요법(Behavior therapy)
행동 요법은 아동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고, 부정적인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교사나 부모와 협력하여 일상생활에서 아동의 행동을 관찰∙관리하고, 구체적인 규칙과 일정한 구조를 제공하여 아동의 주의력과 자기 통제를 향상시킵니다. 보상 시스템을 도입하여 원하는 행동을 강화하고, 비효율적인 행동에 대한 제재를 부과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합니다.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주의력과 과잉 활동성 증상을 완화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주로 흔히 알려진 치료제인 중추 신경계 자극제(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s)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은 아동의 주의력을 증가시키고, 과잉 활동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약물 치료는 의사와 상담하고 정확한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약물의 주의해야 할 부작용은 없는지 치료과정에서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교육적 지원
학교에서는 아동에게 적합한 교육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개별 교육계획(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을 활용하여 학업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수업 계획과 학습 방법을 조정하여 아동의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게 됩니다.

가족 지원
가족은 아동의 치료와 관리에 큰 역할을 수행합니다.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일상적인 규칙과 환경을 만들어 아이가 자연스럽게 가족관계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의학적 치료

한의학적 치료원리는 이렇습니다. 두뇌가 정상적으로 성장하려면 두뇌의 성장발달에 필요한 영양분과 호르몬을 몸에서 충분히 만들어서 공급해야 합니다. 마치 예쁘게 꽃이 피려면 뿌리에서 영양분과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초등 ADHD 아동을 살펴보면 뿌리에 해당하는 ‘몸’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방치료는 뿌리에 해당하는 내장장기와 자율신경계, 혈관계 부분을 개선해서 정상적인 뇌발달이 이뤄지도록 하는 치료입니다.

치료방법은 △전두엽의 성장발달을 돕는 1:1 맞춤한약 '두청탕' △머리로 기혈순환을 돕는 시럽형태의 '두청단' △자율신경의 불균형을 바로잡고 뇌기능을 활성화하는 '두청테라피(두청침, 경추브레인추나, 온열뜸 등)'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한방심리요법(감정자유기법EFT, 대표원장님 전문심리상담 등)' △뇌파동조기술을 활용한 '뇌파안정훈련(뉴로피드백, IM감통 등)'을 조합해서 현재 아이의 증상과 체질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한의학적 치료를 통해 아이는 균형 잡힌 뇌발달을 하게 됩니다. 한방치료는 ADHD증상만 억제하는 것이 아닌 뇌를 비롯한 전신의 고른 발달을 돕기 때문에 초등 ADHD 아동의 성장발달, 면역력, 뇌력과 체력까지 함께 좋아집니다.

글 = 하이닥 의학기자 김도환 원장 (한의사)

김도환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전문가 대표메일)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 ㈜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하이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