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파월 블러핑·ECB 금리 인상·일본은행 YCC·시진핑 칠순·글로벌 호갱

송태희 기자 2023. 6. 16. 07:1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모닝벨 '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 진행 : 강산 / 출연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경제학 박사·세한대 특임교수

◇ 파월 블러핑

어제(15일) FOMC가 내놓은 강력한 추가 인상 시사를 두고 허세, 허풍 아니냐는 얘기가 나와요?
- 연준, 기준금리 동결과 함께 강력한 추가 인상 신호
- 현 기준금리 5~5.25% '동결'…연내 0.5%p↑ 가능성
- 하반기부터 인플레 약화 전망…"인상 신호, 허풍일 수도"
- 전문가들 "연준, 계속 금리 올리면 침체 가능성 높아져"
- 시장, 6월 FOMC 금리 동결 이어 7월 금리 인상 유력시
- 뉴욕증시, 추가 인상 신호에도 랠리…나스닥 1.15%↑
- S&P500, 1.22% 상승 마감…14개월래 최고치 기록
- 투자자, 추가 인상 신호 무시?…경제 연착륙 기대감↑

◇ ECB 금리 인상

유럽중앙은행, ECB가 기준금리를 또 인상했습니다. 연준의 쉬어가기도 영향이 없었던 것 같아요?
- 유럽중앙은행, 기준금리 0.25%p 인상…긴축 강행 지속
- 유럽, 기준금리 3.75%→4.00%…8회 연속 금리 인상
- '쉬어가기' 택한 연준…ECB "다음 달에도 역시 인상"
- 유로존 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전년比 6.1% 기록
-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 4.0%…2년 2개월만 최소폭
- 올해 유로존 물가 전망치 5.4%로 상향…근원물가 5.1%
- ECB "인플레 낮아지지만 오래 높은 상태 유지할 듯"
- 라가르드 "쉬어갈 생각 없다…다음달 인상 가능성 커"

◇ 일본은행 YCC

오늘(16일)은 일본은행이 통화정책을 발표합니다. 최근 엔저 현상에도 수익률 곡선 통제, YCC 정책을 고수할 거란 전망이 나오는데 YCC가 뭔가요? 
- 일본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 시작…물가·임금 동향 논의
- 일본 엔화 가치 하락세…달러 대비 7개월만 최저 수준
- 일 정부, 연준 '매파적 동결'에 외환시장 개입 선긋기
- 대규모 금융완화 효과 논의…현재 YCC 틀 고수 전망
- 우에다 "2% 물가 안정, 달성 향한 싹 보이기 시작했다"
- 일본 4월 소비자물가 3.4% 상승…3개월 만 확대 전환
- 닛케이 33년 만에 최고치 경신 등 일본주가 급등세

◇ 시진핑 칠순

어제 시진핑 주석이 칠순, 70세 생일을 맞이했다고요?
- 시진핑, 어제 칠순 맞이…김정은·푸틴 등 축전 전달
- 김정은, 시진핑 칠순 이틀 앞두고 꽃바구니·친서 전달
- 김정은 "중화 부흥 실현 위한 투쟁 반드시 승리할 것"
- 최근 중·러 밀착 강화…푸틴 "협력 지속 기대" 축전
- '제로 코로나' 해제 이후 경기 부진…내수회복 고민
- 중국 정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 5% 달성 '빨간불'
- 빌 게이츠, 오늘 베이징 방문…"시진핑 만날 듯"
시진핑, 코로나 사태 이후 외국 기업인 첫 접견 예상

◇ 글로벌 호갱

호갱, 호구라고도 하죠. 최대 시장인 한국의 뒤통수를 치는 곳들이 있어요?
- '경기는 부진한데…' 일부 고가품 수요 증가에 가격↑
- 국내 위스키 가격 고공행진…혼술족에 '힙 주류' 인식
- 유흥주점 소비 줄면서 소비량 감소했던 위스키 대반전
- 한국에서만 비싼 위스키…미·일·영 등 보다 2배 가격
- 업계 "해외, 한국 위스키 호황 인식…글로벌 호구 우려"
- 한국, 명품 소비 시장 1위…매년 역대 최대 매출 경신
- 수차례 기습 가격 올리기…"한국, 호갱으로 보나" 지적
- 소비자들 "왜 비싼지 인상 폭 적절한지 알 길 없어"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