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8년 만의 새 이름' 강원특별자치도, 11일 오전 0시 공식 출범

양지웅 2023. 6. 11. 08: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원도가 1395년 지명을 정한지 628년 만에 새 이름을 얻고 '강원특별자치도'로 11일 오전 0시 공식 출범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9일 춘천에서 열린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식에서 "그동안 강원도는 국가 안보와 환경을 이유로 불필요한 중층 규제에 묶여 있었고, 도민이 많은 불편과 불이익을 감내해야만 했다"며 "불필요한 걸림돌을 제거함으로써 첨단산업과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대 규제 개선·권한 이양…미래산업 육성에 교육자치 제도 개선도
12일 오전 9시 도·도의회·도교육청 현판식으로 일정 돌입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퍼포먼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춘천=연합뉴스) 양지웅 기자 = 강원도가 1395년 지명을 정한지 628년 만에 새 이름을 얻고 '강원특별자치도'로 11일 오전 0시 공식 출범했다.

이는 전국에서 2006년 제주에 이어 두 번째 특별자치도 출범이다.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해 세 번째 특별광역자치단체이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지난해 5월 29일 제정된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의 명칭이 변경된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및 미래산업글로벌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과 지난 5월 25일 '강원특별자치도법 전부개정안'을 통해 지방정부의 자율성 및 성장동력을 확보했다.

환경·국방·산림·농지 등 4대 분야 규제를 해소하고 특례를 이양받아 지방 분권을 실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또 미래 특화산업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전기를 얻었다.

첨단과학기술단지를 조성할 수 있는 근거와 함께 연구개발특구 지정 요건을 완화해 과학 기술과 연구개발(R&D)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길을 텄고, 항만의 자유무역지역 지정 요건도 완화해 강원 동해안에 기업을 유치·지원할 수 있게 됐다.

접경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성과 산림·환경·수자원·환경·군사시설보호구역 등 각종 규제와 제약이라는 족쇄를 풀고 자기 결정권을 확보해 탄소중립 녹색성장 중점자치도로 변모할 방침이다.

중앙 정부도 강원의 역사적인 새 출발에 든든한 지원을 약속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9일 춘천에서 열린 강원특별자치도 출범식에서 "그동안 강원도는 국가 안보와 환경을 이유로 불필요한 중층 규제에 묶여 있었고, 도민이 많은 불편과 불이익을 감내해야만 했다"며 "불필요한 걸림돌을 제거함으로써 첨단산업과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강원특별자치도의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 비전이 실현되도록 e-모빌리티, 수소 등 첨단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축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주민 일상에도 작은 것에서부터 변화가 시작된다.

주민등록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 건축물대장, 토지대장, 등기부등본 등 각종 공부상 주소를 강원특별자치도로 변경 발급한다.

주소와 기관명도 바뀌며 강원도로 표기된 도로, 하천, 관광자원, 문화재 등 안내표지판을 강원특별자치도 명칭변경과 상징마크를 적용, 교체한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영문 표기는 '강원 스테이트'(Gangwon State)이다. 특별자치도 성공 출범과 분권 구현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담았다.

도는 그동안 사용했던 마스코트 캐릭터 '범이·곰이' 대신 특별자치도 출범에 맞춰 새 캐릭터인 '강원이·특별이'를 사용한다. 교육청 역시 '홍홍이·보보'라는 새 캐릭터를 선보였다.

도와 도의회, 교육청은 12일 현판 제막을 시작으로 특별자치도와 특별자치도의회, 특별자치도교육청으로서의 공식 일정에 들어간다.

도는 이날 오전 9시 도청사 앞에서 '강원특별자치도' 현판을 제막하고, 반송을 기념 식수한다.

김진태 지사는 집무실에서 '강원특별자치도청 2천811명 전 직원 임용서'를 1호 결재한 데 이어 미래산업 글로벌도시를 위한 '미래 강원 2032 발전전략'에 2호 서명한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강원을 기업이 들어오고 사람이 넘쳐나고 우리의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지 않아도 되는 그런 자유의 땅으로 만들겠다"며 "그동안 강원도는 대한민국을 위해 양보했지만, 이제 강원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을 위해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 강원특별자치도 무엇이 달라지나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강원특별자치도가 오는 11일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다. 지난 달 25일 국회를 통과한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및 미래산업글로벌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하 강원특별법)은 강원의 지역적, 역사적, 인문적 특성을 살려 지방분권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yangdo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