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태석의 빛으로 쓴 편지] 망종 코앞… ‘품앗이’ 사라진 농촌

왕태석 2023. 5. 30. 04: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절기상 망종(芒種)을 앞둔 전남 구례군의 농촌 풍경이 평화롭기만 하다.

한겨울 찬바람을 이겨낸 보리는 누렇게 익어 수확을 기다리고 있고, 모심기를 앞둔 논에서는 마음 급한 농부들이 논을 갈고 있다.

간혹 대통령도 농촌을 찾아 바지를 무릎까지 걷어붙이고 모내기 봉사를 하며 농부들과 논두렁에 앉아 막걸리를 마시기도 했다.

곡식의 씨를 뿌리기에 가장 알맞은 망종을 앞둔 시기에 농촌의 풍경이 자못 삭막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절기상 망종(芒種)을 앞둔 전남 구례군 들녘에는 보리가 누렇게 익어 수확을 기다리고 있고, 모심기를 앞둔 논에서는 마음 급한 농부들이 논을 갈고 있다. 구례=왕태석 선임기자

절기상 망종(芒種)을 앞둔 전남 구례군의 농촌 풍경이 평화롭기만 하다. 한겨울 찬바람을 이겨낸 보리는 누렇게 익어 수확을 기다리고 있고, 모심기를 앞둔 논에서는 마음 급한 농부들이 논을 갈고 있다. 그들에게 지금 시기는 겨울 농사를 수확하고 가을 농사를 준비해야 할 때다. 우리 속담에 ‘부지깽이도 따라나선다’는 말이 있을 만큼 농촌은 1년 중 지금이 가장 바쁘다.

절기상 망종(芒種)을 앞둔 전남 구례군 들녘에는 보리가 누렇게 익어 수확을 기다리고 있고, 모심기를 앞둔 논에서는 마음 급한 농부들이 논을 갈고 있다.

예전 이맘때면 모내기철을 맞아 전국에서 농촌 봉사에 나선 단체들과 정치인들의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 간혹 대통령도 농촌을 찾아 바지를 무릎까지 걷어붙이고 모내기 봉사를 하며 농부들과 논두렁에 앉아 막걸리를 마시기도 했다. 하지만 요즘은 그런 정다운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어쩌면 농사가 기계화되면서 사람들이 모이는 모심기 풍경이 바뀌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절기상 망종(芒種)을 앞둔 전남 구례군 들녘에 석양이 물들고 있지만 농사일에 마음 급한 농부는 일손을 놓지 못한다.

그래서일까. 농번기면 나타난 ‘품앗이’라는 단어도 이제는 우리들 기억 속에서 점점 사라져 간다. 힘든 일을 서로 도와가며 정을 나누었던 아름다운 모습은 잊히고, 그 자리를 농기계와 외국인 노동자들이 대체하고 있다. 곡식의 씨를 뿌리기에 가장 알맞은 망종을 앞둔 시기에 농촌의 풍경이 자못 삭막하다. 한 해가 벌써 절반이 지나가고 있다. 새해 시작은 희망과 함께 출발했지만 아직도 어렵고 힘든 시기를 통과하고 있다. 이럴수록 도움을 주고받는 ‘품앗이’라는 선조들의 지혜를 배울 때다.

절기상 망종(芒種)을 앞둔 전남 구례군의 한 논에는 한겨울 찬바람을 이겨낸 보리가 누렇게 익어 수확을 기다리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kingwang@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