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향적 아이들도 거리낌 없이 궁금증 쏟아내…교과서·노트 없는 교실[르포]

창원(경남)=정현수 기자 2023. 5. 15.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1일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남정초등학교.

이정민 교사가 5학년 4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수업을 시작했다.

학생들은 노트북과 태블릿PC가 결합된 복합기만을 사용해 수업을 들었다.

이정민 교사는 "개개인 맞춤형 수업을 하기에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시스템을 활용하면 학생들의 수준별 학습을 AI가 추천해줘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해지고, 이는 기초학력 보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창원 남정초등학교 5학년 4반 학생들이 경남형 교육플랫폼 '아이톡톡'을 활용해 과학 수업을 듣고 있다 /사진=정현수 기자

"태양계에는 어떤 행성이 있을까요?"

지난 11일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남정초등학교. 이정민 교사가 5학년 4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수업을 시작했다. 그런데 학생들의 책상 위에 교과서나 노트가 없다. 학생들은 노트북과 태블릿PC가 결합된 복합기만을 사용해 수업을 들었다. 경남교육청의 교육플랫폼 '아이톡톡'을 활용한 새로운 수업 방식이다.

수업 방식은 '스마트'하다. 학생들은 복합기를 통해 태양계 행성에 대해 배우고 모둠별로 태양계 행성을 조사한다. 조사 결과는 '아이톡톡'을 통해 공유한다. 각 모둠은 공유 화면을 토대로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이후 학습내용에 대한 문제풀이가 복합기에 뜬다. 학생들은 전용펜으로 복합기에 직접 정답을 기입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과정을 교사 전용 플랫폼으로 확인하고 즉석에서 퀴즈도 낸다. 학생들은 문제풀이 과정에서 '질문하기'를 클릭하면 인공지능(AI) 기능을 활용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수업이 끝난 후 복합기에 남긴 "책으로 수업하는 것보다 재미었어요" 등 학생들의 소감은 곧바로 공유 화면에 떴다.

남정초 5학년인 황금빛 학생은 "종이로 공부하면 지루한데 인터넷을 활용해 공부하다 보면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장비가 추천해주기 때문에 훨씬 좋다"며 "집에서 채팅창을 통해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해주는데 MBTI가 I(내향적)인 사람도 잘 소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창원 남정초등학교 5학년 4반 학생들이 경남형 교육플랫폼 '아이톡톡'을 활용해 과학 수업을 듣고 있다 /사진=정현수 기자

'아이톡톡'은 경남교육청이 개발한 빅데이터·AI 기반 교육플랫폼이다. 네이버의 웨일브라우저를 활용해 플랫폼을 구축했고,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교육지원 기능을 갖췄다. 경남교육청 소속 전체 학교(1003개교)가 '아이톡톡' 등록을 마쳤다. 경남교육청은 모든 학생들에게 복합기를 무상 지급했다. 교과는 과학과 수학을 탑재했다.

직접 접속해 본 수학 과목 역시 '맞춤형 교육'에 방점을 찍었다. 수학 문제를 풀면 정답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틀린 문제에 대해선 개념을 다시 확인할 수 있고, 관련 추천 문제도 풀 수 있다. 정인수 경남교육청 미래교육원 교육연구관은 "학생은 언제라도 문제를 풀 수 있고, AI는 문제를 추천해준다"며 "외부 전문기관과 연계해 강의 코스를 연결할 계획도 있다"고 설명했다.

'아이톡톡'은 교사들의 수업 운영에도 기여하고 있다. 학생들의 교육데이터를 관리해주고, 혁신적인 수업사례는 공유할 수 있다. 이정민 교사는 "개개인 맞춤형 수업을 하기에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시스템을 활용하면 학생들의 수준별 학습을 AI가 추천해줘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해지고, 이는 기초학력 보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남교육청은 지난해 서울·제주교육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아이톡톡' 운영 경험을 나누고 있다. 박종훈 경남교육감은 "아이들의 교육에도 AI를 적용하면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으로 시작했다"며 "교육감협의회에서 다른 시도교육청과 아이톡톡을 공유하는 문제를 의논하고 있다"고 말했다.

창원(경남)=정현수 기자 gustn99@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