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강남역 하루 7만명 이용…버스 최다는 고속터미널

윤보람 2023. 5. 10. 11: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서울에서 가장 붐빈 지하철역은 강남역, 버스 정류장은 고속터미널 정류소로 나타났다.

단, 1호선은 코레일 운영 구간을 제외하고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서울역∼청량리)만 조사해 이용 비율이 실제보다 낮을 수 있다.

유형별 이용 비율은 간선 41.4%, 지선 37.5%, 마을 20.6%, 광역(서울 소재 버스만 해당) 0.4%, 순환 0.1%였다.

시내버스 정류소 총 6천608개 중 일평균 버스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곳은 고속터미널(9천318건)로 조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목적지는 출근길 가산디지털단지·퇴근길 사당 가장 많아
버스 구로디지털·강남 많아…청소년은 아침 한양대·저녁 홍대입구
붐비는 서울 지하철 강남역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지난해 서울에서 가장 붐빈 지하철역은 강남역, 버스 정류장은 고속터미널 정류소로 나타났다.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최다 이용객을 기록했다.

서울시는 대중교통 카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인 '2022년 대중교통 이용 현황'을 10일 발표했다.

작년 연간 서울 시내의 대중교통 이용 건수는 총 34억건, 일평균 944만건을 기록했다. 평균적으로 대중교통을 한 번 이용할 때 약 11.23㎞를 33.3분 동안 이동했다.

지하철 총 이용 건수는 18억8천만건, 일평균 이용 건수는 516만건이었다.

일평균 이용객 수는 강남역(7만1천598명), 잠실역(6만8천635명), 홍대입구역(5만7천426명), 신림역(5만4천638명), 구로디지털단지(5만517명) 순으로 많았다.

호선별 이용 비율은 2호선(23.5%), 5호선(10.9%), 7호선(10.2%), 3호선(8.9%), 4호선(8.4%), 9호선(6.4%), 6호선(5.7%), 1호선(3.9%), 8호선(3.2%) 순으로 높았다.

단, 1호선은 코레일 운영 구간을 제외하고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서울역∼청량리)만 조사해 이용 비율이 실제보다 낮을 수 있다.

출근 시간대(오전 7∼9시) 일반 이용자는 업무지역인 가산디지털단지(2만9천273건), 청소년은 학교 주변인 한양대(804건)에서 가장 많이 내렸다.

이밖에 일반 이용자는 역삼·강남·여의도·선릉, 청소년은 강남·안암(고대병원앞)·잠실·명지전문대·충암중고등학교 순으로 하차 승객이 많았다.

퇴근 시간대(오후 6∼8시) 하차 승객은 일반 이용자의 경우 환승역인 사당(1만5천308건)에 이어 신림, 잠실, 강남, 건대입구 순으로 많았다.

청소년은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홍대입구(703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건대입구, 강남, 노원, 고속터미널이었다.

지하철은 11개 노선, 357.66㎞ 구간, 337개의 역사를 약 490편의 열차가 하루에 5천62회 운행했다. 하루 총 운행 거리 4천만㎞는 하루에 지구에서 달 사이를 약 50회 왕복한 것과 같다고 시는 전했다.

시내버스는 378개 노선을 7천389대가 운행했다. 하루 총 운행 횟수는 4만63회, 운행 거리는 148만㎞였다.

하루 총 운행 거리는 둘레가 약 4만75㎞인 지구를 37바퀴 돈 것과 같다고 시는 설명했다.

버스 이용 건수는 총 15억6천만건, 일평균 427만건으로 집계됐다. 유형별 이용 비율은 간선 41.4%, 지선 37.5%, 마을 20.6%, 광역(서울 소재 버스만 해당) 0.4%, 순환 0.1%였다.

2022년 서울 버스정류소 이용 건수 상위 5곳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시내버스 정류소 총 6천608개 중 일평균 버스 이용객이 가장 많았던 곳은 고속터미널(9천318건)로 조사됐다.

구로디지털단지역(9천157건), 강남역(8천599건),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8천489건), 홍대입구역(8천300건)도 이용 건수 상위 5위에 포함됐다.

서울버스 중 가장 긴 노선은 일산∼양재동을 연결하는 9711번 버스다. 노선 인가거리가 총 90.5㎞로 가장 짧은 노선인 5621번(삼익아파트∼구로디지털단지역)의 약 14배다.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버스 노선은 146번(상계주공7단지∼강남역)과 370번(강동공영차고지∼충정로역)이었으며, 운행 횟수가 가장 많은 노선은 하루 230회 다니는 1164번(서경대본관∼길음전철역)이었다.

시는 조사 결과를 담은 책자 '데이터에 담긴 서울교통 2022'를 발간해 이달 중 서울교통정보센터 토피스 홈페이지(topis.seoul.go.kr)에 올릴 예정이다.

2022년 서울 지하철역 이용 건수 상위 5곳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bryoo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