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사도 숨 가빴던 대선 개표 ‘골든크로스’ 그 순간…득표 차도 ‘0.0%P’였다

김동환 2023. 5. 10. 06: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제20대 대통령 선거의 하이라이트로는 개표율 50%를 돌파한 무렵(2022년 3월10일 0시32분쯤),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이던 윤석열 대통령 득표율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이던 이재명 대표를 앞지른 '골든크로스'가 손꼽힌다.

대선 투표 당일인 9일 오후 10시쯤 개표율 3.17% 시점에서 이 대표가 52.34%이고 윤 대통령이 44.57%로 양자 간 득표율 격차는 7.77%P였지만, 개표율이 5.02%였을 때는 각각 51.21%와 45.66%를 기록해 그 차이가 5.55%P로 좁혀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대 최소 득표 차이로 기록된 제20대 대통령 선거
대선 하이라이트로는 尹이 李 역전한 ‘골든크로스’가 손꼽혀
지난해 3월9일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 투표 개표는 이튿날인 10일 새벽까지 피말리는 접전 양상으로 전개됐다. 사진은 개표 방송을 시청하는 더불어민주당 선거상황실(왼쪽)과 국민의힘 개표상황실. 연합뉴스
 
지난 제20대 대통령 선거의 하이라이트로는 개표율 50%를 돌파한 무렵(2022년 3월10일 0시32분쯤),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이던 윤석열 대통령 득표율이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이던 이재명 대표를 앞지른 ‘골든크로스’가 손꼽힌다.

올라가는 개표율만큼 좁혀진 양측 득표 격차가 1만표 안쪽으로 떨어지면서 보는 이는 손에 땀을 쥐었고, 윤 대통령의 득표수가 이 대표를 앞선 순간 개표 상황을 지켜보던 국민의힘 개표 상황실에서는 일제히 환호가 터져 나왔다.

초접전을 전한 지상파 3사 출구조사에 이어 종합편성채널 JTBC의 출구조사에서 이 대표가 ‘박빙 우세’를 보인 것으로 보도되자, 당시 송영길 대표가 눈물까지 훔쳤던 민주당에는 순식간에 침묵이 덮쳤다.

지난해 3월11일 서울 시내의 한 아파트 단지 앞에 당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메시지가 나란히 걸려있다. 연합뉴스
 
개표 상황을 중계하는 방송사 유튜브 채널 실시간 대화창에서는 ‘윤석열 가자’거나 ‘이재명 힘내라’ 등 글이 쏟아졌고, 진행자들도 “윤석열 후보가 방금 역전했습니다” 등 멘트를 숨 가쁘게 뱉어냈다.

방송사 개표 집계 상황 그래픽에는 격차가 ‘0.0%P’라는 쉽게 볼 수 없는 문구도 떴다.

대선 투표 당일인 9일 오후 10시쯤 개표율 3.17% 시점에서 이 대표가 52.34%이고 윤 대통령이 44.57%로 양자 간 득표율 격차는 7.77%P였지만, 개표율이 5.02%였을 때는 각각 51.21%와 45.66%를 기록해 그 차이가 5.55%P로 좁혀졌다.

자정을 넘겨 10일 0시10분쯤 개표율 42.36%일 때 이 대표 48.60%에 윤 대통령이 48.04%로 7만8906표까지 줄어든 표 차이는 6만2410표로 재차 좁혀졌고, 0시30분에는 8949표로 처음으로 천 단위를 기록했다.

전국 개표율이 54.25%를 보인 0시40분 기준 득표율 48.41%로 이 대표(48.15%)와의 표 차이를 4만8893표로 벌린 윤 대통령은 그 기세를 이어 나가 재역전을 허용하지 않았다.

역전 드라마의 징조는 10일 0시15분 윤 대통령이 48.30% 득표율로 이 대표(48.29%)를 0.01%P 격차로 앞서나가기 시작한 서울에서 먼저 감지된 것으로도 보였다.

윤 대통령은 전국 득표율 48.56%(1639만4815표)를 얻어 1614만7738표로 득표율 47.83%를 기록한 이 대표를 단 0.73%P 차이로 누르고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역대 대선 최소 표차인 24만7077표 차이로 거둔 신승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5월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선 후 첫날인 3월10일부터 외교·안보 관련 행보를 가속화 하며 당선인으로서 외치와 내치를 아우르는 차기 최고 통수권자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던 윤 대통령은 같은 해 5월10일 제20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윤 대통령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국민이 진정한 주인인 나라로 재건하겠다”고 다짐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