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표 부지 개발로 카카오 같은 혁신 기업 유치"

김창영 기자 2023. 5. 8.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초단체장이 뛴다]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
"성수동에 스타트업·엔터테인먼트 생태계 구축"
"GFC 들어서면 기업 교류, 구인·구직 강점 극대화"
"세제혜택, 왕십리·한전부지 개발 등 인센티브 제시"
"삼표 부지 개발 따른 교통난, 임대료 문제 대비책 마련"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미래 성동구 발전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권욱 기자
[서울경제]

“옛 삼표산업 부지에 초대형 오피스빌딩이 들어서면 카카오도 성수동 입주에 욕심을 낼 겁니다. 미래 신성장 기업 유치를 위한 여러 인센티브를 마련하겠습니다.”

정원오(사진) 성동구청장은 7일 서울경제와 만나 삼표 부지 재개발로 성수동 일대가 신산업 메카가 도약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서울시는 지난 3월 성수동 일대 글로벌 미래업무지구로 조성하겠다며 삼표 공장 부지에 ‘글로벌미래산업단지(Global Future Complex·GFC)’를 세우겠다고 발표했다. 시는 2025년 착공되는 GFC에 기술(Technology), 광고(Advertising), 미디어(Media), 정보(Information) 등 글로벌 ‘TAMI’ 기업들을 유치할 계획이다.

정 구청장은 GFC가 들어서면 성수동이 엔터테인먼트 등 기존 생태계와 연계한 새로운 업무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성수동에는 연예기획사인 SM엔터테인먼트·큐브엔터테인먼트가 입주해있고, 글로벌 게임 ‘배틀그라운드’ 개발사인 크래프톤이 신사옥을 짓고 있다. 이 밖에 현대글로비스(물류), 쏘카(모빌리티), 무신사(패션) 등 다양한 기업들이 성수동에 자리잡았다.

성수동 입주 기업은 2018년 2만7868개에서 2020년 4만1582개로, 종사자 수도 17만4819명에서 19만6377명으로 각각 늘었다. 그는 “강남과 판교에 있던 기업들이 성수동으로 터를 옮기면서 기업 간 교류가 활성화되고 구인에 강점이 생겼다”며 “성수동 랜드마크가 될 GFC 분양까지 이뤄지면 기업들이 계속 몰려들 것”이라고 말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서울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권욱 기자

성동구는 2018년 전국 최초로 소셜벤처 허브센터를 조성하는 등 기업 유인책들을 마련해왔다. 2020년부터 소셜벤처 특화 펀드(1호 20억원·2호 50억원)를 조성해 초기 스타트업에도 투자했다. 2021년 10월 성수 IT산업·유통개발진흥지구 지구단위 계획이 고시되면서 성수동 2가 3동 일대 용적률이 완화됐고, 서울시 조례에 따라 내년까지 이곳에서 IT·연구개발(R&D) 목적으로 부동산을 매입하면 취득세 50%를 감면받는다. 취득세 50%·재산세 37.5%를 감면받는 지식산업센터도 성동구에만 65개소가 있다.

앞으로 진행될 개발 사업들도 대대적인 기업 유인책이 될 것이라는 게 정 구청장의 생각이다. 기업 입장에서 왕십리역 일대를 최고 50층 규모로 복합 개발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타운 사업’이나 한국전력 마장동 부지 개발 계획 등과 연계한 사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왕십리 복합 개발 등과 사업을 연계하려는 기업들도 생길 것"이라며 “구에서 이런 정책들을 적극 홍보하고 기업에 제시할 여러 인센티브를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정 구청장은 대규모 개발에 따른 교통난을 막기 위해 대비책을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대차그룹이 성수동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립을 추진할 당시 나온 교통영향평가를 참고해 삼표 부지 개발 교통 대책을 세우고 서울시에 제시하겠다”며 "응봉역과 서울숲 간 인도교 연결, 서울숲역과 왕십리역 간 셔틀버스 운영 등을 생각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또 “뚝섬유수지 옆에 350면 규모 공영주차장을 만들었지만 주차난이 여전하다”며 “삼표 부지와 서울숲역 지하주차장 조성도 검토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젠트리피케이션(지역개발로 인해 원주민이 쫓겨나가는 현상)도 정 구청장이 신경 쓰는 분야다. 성수동이 공업지대에서 업무 중심지로 변신하는 과정에서 임대료가 급등하고 원주민이 밀려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숲과 왕십리역 일대가 재개발되면 문제가 더 심해질 수 있다. 정 구청장은 “성동구는 2015년 전국 최초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조례를 만들어 관련 법률 제정까지 이끌어냈다”며 “올해부터 서울숲과 뚝섬역 주변 중심이었던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을 성수역과 연무장길 일대로 확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영 기자 kcy@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