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갈거야" '다케시마 퍼즐' 맞춘 日 어린이들…외교부의 고민

김지훈 기자 2023. 5. 4. 16: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방한을 앞둔 4일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이 이른바 '다케시마(일본 측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 등에 대한 억지 영유권 주장이 담긴 '거대 영토 퍼즐' 을 앞세워 미래세대 교육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독도 방문 뒤 일본 측이 '재발 방지'를 촉구한 데 이어 일본 어린이들의 염원식으로 포장한 '거대 영토 회복' 문제를 띄운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300]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에서 거대 영토 퍼즐을 맞추는 어린이들. 퍼즐판에는다케시마 라는 명칭과 함께 독도를 이루는 섬들의 모습을 확대한 모습이 실렸다. 붉은색 네모칸은 기자가 표시. /사진=영토주권전시관 SNS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방한을 앞둔 4일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이 이른바 '다케시마(일본 측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 등에 대한 억지 영유권 주장이 담긴 '거대 영토 퍼즐' 을 앞세워 미래세대 교육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독도 방문 뒤 일본 측이 '재발 방지'를 촉구한 데 이어 일본 어린이들의 염원식으로 포장한 '거대 영토 회복' 문제를 띄운 셈이다.

전용기 독도 방문 이후, 日 국립전시관 日 어린이들에 "키즈카페 '영토 퍼즐' 놀러와"

일본 국립 영토주권전시관에서 거대 영토 퍼즐을 맞추는 어린이들. /사진=영토주권전시관 SNS
영토주권전시관은 이날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영토주권전시관 내 거대 영토 퍼즐 앞에 선 어린이들 사진, 영토주권전시관 캐릭터 가운데 하나인 '아루바(アルバ)' 사진을 올리고 "영토 주권 전시관 키즈 코너에는 거대 영토 퍼즐이 있어!놀러와!!"라고 공지했다.

사진 속 거대 영토 퍼즐판 세개 중에서 가운데 퍼즐판에는 독도의 지도가 확대돼 나타나 있다. 퍼즐판에 지도와 함께 표시된 독도칸에는 '독도를 이루는 큰 섬인 두 개의 섬인 동도와 서도의 명칭이 각각 일본식 표기인 여도(女島) 남도(南島)로 기재됐다.

2021년3월 업로드된 일본 영토주권 전시관 관련 홍보물. /사진=유튜브 영상 캡처


SNS 게시물에 함께 올라온 아루바는 일본이 중국과 영토 분쟁 중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상징하는 캐릭터(독도는 리양코)이지만 퍼즐판에는 5개의 무인도와 3개의 암초로 7km² 면적인 센카쿠 열도 정보를 담은 퍼즐조각 크기보다 0.188km²독도 쪽이 더 크게 만들어졌다. 영토주권전시관은 "일본인데도 갈 수 없는 장소가 있다. 어째서 그런것이냐"라고 묻는 아들에게 "너희 세대에는 가볼 수 있다"고 답하며 '영토 주권 회복'을 염원하는 엄마의 모습을 담은 단편 영상물도 유튜브에 띄웠다.

영토주권 전시관에서 독도를 상징하는 캐릭터 리양코. /사진=영토주권전시관 홈페이지 캡처

외교부는 "정부는 대변인 성명 및 외교채널을 통해 일본 정부가 2018년 영토주권전시관을 개관한 이래 동 전시관의 즉각적인 폐쇄를 누차 촉구해 왔다"는 입장을 냈다.

MB 독도 방문·발언에 日 '급발진'…"국제 재판합시다"
앞서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일 민주당 청년위원회 소속 청년들과 함께 독도를 찾으면서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김용길 주일한국대사관 정무공사에게 전화를 걸어 "사전 항의와 중지 요청에도 불구하고 상륙이 강행됐다"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으며 매우 유감"이라고 항의했다.

국민의힘 측에선 민주당 측의 이번 독도 방문이 일본 극우 세력이 바라는 독도 분쟁지역화에 일조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한다.

사진=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일본 측의 독도 분쟁지역화 시도는 독도를 실효 지배 중인 우리에 맞서 독도 영유권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회부시키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돼 왔다.

일본 측은 우리 측 고위 인사의 발언·독도 방문을 분쟁지역화의 명분으로 삼으려는 듯한 행보도 거듭했다. 2012년9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하고 "독도는 진정한 우리의 영토"라고 말하자 일본 정부는 "다케시마 영유권에 관한 분쟁을 ICJ에 회부하자"고 한국에 제안했다.

다만 우리 정부는 일본 측의 독도 문제 ICJ 회부 제안에 번번이 퇴짜를 놨다. 독도는 명백한 우리나라 땅이기 때문에 국제재판 판결에 의지해 영유권 여부를 가릴 대상이 아니라는 게 우리 측의 일관된 입장이다.

기시다 총리가 정상회담 차 방한을 앞둔 시점에서 독도를 둘러싼 한일 공방전이 심화하면서 우리 외교 당국의 한일 관계 현안 관련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일측의 부당한 주장은 외교채널을 통해 일축했다"며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로, 우리 영토주권에 대한 일측의 어떠한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김지훈 기자 lhshy@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