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266> 안서로 떠나는 원이와 이별하며 읊은 왕유의 시

조해훈 고전인문학자 2023. 5. 1.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위성의 아침 비가 가벼운 먼지를 적시니(渭城朝雨浥輕塵·위성조우읍경진)/ 객사 앞 버드나무의 푸른빛이 새롭구나.

위 시는 중국 당나라 때 왕유(王維·699?~759)의 '원이가 안서로 가는 것을 전송하며(送元二使安西·송원이사안서)'로, '악부시집(樂府詩集)'에 '위성곡(渭城曲)' 제목으로 실려 있다.

중국 신강성 투루판(吐魯蕃)에 있던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로 조정의 명을 받아 떠나는 원이를 전송한 시이다.

위성은 장안(지금의 서안) 북쪽 교외인 위수 건너편 도시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쪽 양관을 나가면 아는 사람도 없을 테니(西出陽關無故人·서출양관무고인)

위성의 아침 비가 가벼운 먼지를 적시니(渭城朝雨浥輕塵·위성조우읍경진)/ 객사 앞 버드나무의 푸른빛이 새롭구나.(客舍靑靑柳色新·객사청청유색신)/ 다시 술 한 잔 더 드시게(勸君更進一杯酒·권군갱진일배주)/ 서쪽 양관을 나가면 아는 사람도 없을 테니(西出陽關無故人·서출양관무고인)

위 시는 중국 당나라 때 왕유(王維·699?~759)의 ‘원이가 안서로 가는 것을 전송하며(送元二使安西·송원이사안서)’로, ‘악부시집(樂府詩集)’에 ‘위성곡(渭城曲)’ 제목으로 실려 있다. 이별의 정한을 최대한 살려 그려낸 시로 잘 알려졌다. 시제의 원이(元二)는 원(元) 씨 집안 둘째 아들을 뜻한다. 중국 신강성 투루판(吐魯蕃)에 있던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로 조정의 명을 받아 떠나는 원이를 전송한 시이다. 감숙성에서 신강성으로 들어가는 곳에 옥문관(玉門關)이 있고, 그 남쪽에 양관이 있다.

위성은 장안(지금의 서안) 북쪽 교외인 위수 건너편 도시이다. 원이가 떠나는 아침에 비가 내려 먼지가 가라앉았고, 여관 앞 버드나무들은 푸른빛을 낸다. 원이에게 왕유는 “서쪽 양관을 나서면 아는 사람 없지 않은가?”하면서 술을 또 권했다. 이전에 중국인들이 술자리에서 “서쪽 양관을 나가면 아는 사람도 없을 테니”를 세 번 외치면서 마셨다고 한다. 이를 ‘양관삼첩(陽關三疊)’이라 한다. 술을 더 마시자는 의미로 그랬다는 것이다.

필자는 실크로드를 다닌 적이 있다. 위 시를 외우고 있었으므로 양관을 지날 때 읊조려 보기도 했다. 640년 당나라는 투루판의 고창국(高昌國)을 멸망시키고, 서주(西州)를 경영하기 위해 안서도호부를 설치했다. 투루판은 뜨거운 사막 오아시스 도시다. 필자가 투루판에서 쓴 시 ‘포도를 따먹는데’(시집 ‘실크로드 사람들’ 중)가 있다. “투루판박물관 마당 의자에 앉아 쉬는데/ 그늘을 만들어 주는 게 포도나무였다/ … / 앉은 채로 손을 뻗어/ 하나 따 먹어보니/ 단물이 줄줄 배난다/ … / 한참 그렇게 맛있게 포도를 따먹으며/ 한낮 뜨거운 열기를 식히는데/ 경비 아저씨 가만히 지켜보다 심했다 싶었는지/ 다가와 나무라니/무안하다 …” 투루판을 다녀온 지인에게서 연락이 왔다. 실크로드를 다니며 시집 ‘실크로드 사람들’을 읽었다고.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