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구역, 여의도 12배 면적 추가

이민경 2023. 4. 30. 1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달가슴곰이 사는 지리산 밤머리재, '바다 위 모래섬' 태안군 장안사퇴(사진) 등이 국립공원에 새로 편입됐다.

환경부는 제3차 국립공원계획 변경안 심의가 완료돼 전국 국립공원 면적이 6726.3㎢에서 6762.3㎢로 36㎢ 늘어났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국립공원에 새로 편입된 지역은 지리산 밤머리재(1.668㎢), 태안해안 신두리사구(0.744㎢), 장안사퇴 일원(12.967㎢) 등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달곰 서식 지리산 밤머리재 등
환경부, 총 72㎢ 지역 새로 편입
지자체 요청으로 36㎢는 해제돼
반달가슴곰이 사는 지리산 밤머리재, ‘바다 위 모래섬’ 태안군 장안사퇴(사진) 등이 국립공원에 새로 편입됐다.

환경부는 제3차 국립공원계획 변경안 심의가 완료돼 전국 국립공원 면적이 6726.3㎢에서 6762.3㎢로 36㎢ 늘어났다고 30일 밝혔다. 72.2㎢가 새로 편입됐고, 36.2㎢는 해제됐다. 늘어난 면적은 여의도 면적(2.9㎢)의 12.4배에 달한다.

이번에 국립공원에 새로 편입된 지역은 지리산 밤머리재(1.668㎢), 태안해안 신두리사구(0.744㎢), 장안사퇴 일원(12.967㎢) 등이다. 지리산 밤머리재는 반달가슴곰의 서식이 확인된 곳으로, 인근 웅석봉 군립공원과 지리산 국립공원을 연결해 생태적 중요성이 높다. 태안해안 신두리사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구지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장안사퇴는 다양한 해양생물 서식처이자 자연 방파제다. 썰물 때만 모습을 드러내는 대규모 모래섬으로 경관·생태적으로 보호가치가 높다.

이밖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9종 등 다양한 새와 나무가 자생하는 적대봉(9.475㎢), 매와 새매 등 멸종위기종이 살고 모감주나무 등 희귀식물이 분포하는 전북 부안군 위도 망월봉(0.733㎢) 등도 국립공원에 편입됐다. 반면 주민편의나 지역 공익사업을 위해 지자체가 요청한 농경지, 항·포구 등은 국립공원 구역에서 해제됐다.

이번 국립공원계획 변경안에는 국립공원 내에서도 특별히 보호되는 공원자연보존지구를 1580.7㎢로 57.4㎢ 늘리는 내용도 담겼다. 또 주민생활 유지와 사찰의 문화재 보존을 위한 공원마을지구와 공원문화유산지구는 주민·종교계 의견을 반영해 각각 99곳(신설 14·확대 85)과 54곳(신설 25·확대 29)이 신설 또는 확대된다. 탐방안내소·탐방로 등 공원시설은 탐방객 이용 및 향후 설치 요소 등을 반영해 1761개소에서 1748개소로 조정한다.

환경부는 가야산 등 국립공원위원회 심의가 먼저 완료된 20개 국립공원계획을 1일 변경 고시하고 나머지 한려해상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계획을 이달 말 변경 고시할 예정이다.

이민경 기자 m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