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인 좀” “셀카 찍어요”…尹 대통령에 몰린 美의원들

2023. 4. 28. 19:1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방송 : 채널A 뉴스 TOP10 (17시 20분~19시)
■ 방송일 : 2023년 4월 28일 (금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구자홍 동아일보 신동아팀 차장, 김재천 서강대 국제대학원장, 박성민 전 청와대 청년비서관,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김종석 앵커]
보신 것처럼 오늘 뉴스 TOP10은 미국 워싱턴 D.C. 의회 의사당으로 먼저 가보겠습니다. 오늘 자정 즈음에 시작이 되어서 44분 정도 이어진 윤석열 대통령의 상하원 합동 연설, 23번의 기립박수 말고도 오늘까지 여러 말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 지금부터 하나하나 먼저 만나보겠습니다. 어제 의회 연설, ‘새로운 미래를 열고자 하는 결의를 갖고 미국 국민 앞에 섰다.’ 수십 번이 넘는 기립박수가 이어진 어제 상하원 합동 연설이었는데, 오늘 가장 많이 말들이 나왔던 부분은 20년 동안 검사, 그러니까 영어와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직업에서만 일해 온 윤석열 대통령이 꽤나 유창한 영어 실력을 뽐냈다. 이런 것에 대한 해석들이 조금 많습니다?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
그렇죠. 우리가 영어를 잘한다고 이야기를 하는 것은 원어민이나 현지에 잘하는 분들 같은 경우는 억양이나 발음이나 이런 게 정확할 수가 있는데, 우리같이 이제 이런 다른 외국에 사는 분들이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정확하게 하는 게 굉장히 중요한 것 같습니다. 즉, 발음과 억양을 얼마만큼 정확하게 해서 그 뜻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가. 예전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그분은 사실 구속되어서 감옥에서 영어를 배웠다고 할 정도로 발음 자체는 굉장히 조금 우리가 듣기에는 정확하지 않은 발음들이 많은데, 그런데 외국인들 같은 경우에는 반응을 들어보면 굉장히 알아듣기, 이해하기가 쉽다고 이야기를 하거든요? 왜냐하면 이 단어나 이런 것들을 정확하게 하기 때문에 이해하기가 쉽다는 것인데.

저는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에 깜짝 놀랐습니다. 영어를 그동안 보면 이분이 한 번 외국에, 미국에, 워싱턴에 연수 간 적은 있습니다. 그런데 본격적인 검사 생활을 해왔기 때문에 영어를 일상적으로 쓰지는 않아요. 한동훈 장관은 영어를 꽤 잘 하지만. 그런데 이제 어제 한 것을 보면 꽤 발음도 정확하고 억양도 정확하고, 그래서 조금 뒷이야기를 들어보니까 이 원문을 굉장히 꼼꼼하게 준비를 했고 관용사 하나까지도 굉장히 꼼꼼하게 미리미리 준비를 했다. 더군다나 이렇게 애드리브로 몇 개 어떤 이야기를 한 것 자체가 특히 미국인들은 연설할 때 지루해하지 않은 게 조크, 농담을 이렇게 조금 넣는 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런 것도 적절히 섞어가면서 한 40여 분 동안 상당히 조금 감동적인 연설을 한 것 같습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김희진 인턴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