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든 남자”...칠곡군수가 동양란 들고 교육부장관 찾은 이유

이승규 기자 2023. 4. 27. 16: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재욱 칠곡군수(왼쪽)가 26일 이주호 교육부총리에게 다부동 전투 현장 흙이 담긴 난을 전달하고 있다./경북 칠곡군

6·25 전쟁 당시 경북 칠곡군에서 벌어진 다부동 전투를 역사 교과서에 수록해야한다는 건의가 교육부에 제기됐다.

경북 칠곡군은 다부동 전투의 명칭을 ‘다부동 대첩’으로 변경하고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수록해야한다는 취지의 건의를 교육부에 전달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26일 정부서울청사를 찾은 김재욱 칠곡군수는 이주호 교육부장관에게 동양란 화분을 선물했다. 화분 속엔 칠곡군민이 직접 재배한 동양란과 다부동 전투 현장에서 파낸 흙이 담겨 있었다. 칠곡군 관계자는 “오래 피어있는 동양란처럼 다부동 전투를 기억해달라는 의미를 담았다”고 말했다.

다부동 전투는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8월 故 백선엽(1920~2020) 장군의 육군 1사단이 북한군에 맞서 승리를 거두며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낸 전투다. 이곳에서 55일간 치열한 전투가 벌어져 국군 1만명과 북한군 2만4000명이 전사하거나 다쳤다.

다부동전투는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내면서 인천상륙작전의 밑바탕을 닦고 한미동맹의 초석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교과서 등에는 다부동 전투를 비롯해 낙동강 방어전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지난해 10월 교육부는 낙동강 전투 등 6·25 전쟁 중 주요 사건이 교과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다부동 전투는 구국(救國)의 승리인만큼, 의미와 가치 전달을 위해 다부동대첩으로 명칭을 바꾸고 교과서에 수록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주호 교육부장관은 “올바른 국가관 형성을 위해 (다부동 전투 등의)교과서 수록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