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주화의 산실 ‘남산 외교구락부’ 재개관

이복진 2023. 4. 26. 01: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해방 후 한국 현대 정치·외교·문화계의 사교클럽이었고 막후 사랑방 역할을 해왔던 남산 '외교구락부'가 숭의학원에 의해 재건돼 오는 28일 오전 11시에 일반에게 공개된다.

서울 남산 자락에 자리잡은 외교구락부는 일제 강점기에는 헌병대장 관사였으나 해방 후인 1949년 해공(海公) 신익희, 유석(維石) 조병옥, 창랑(滄浪) 장택상, 동산(東山) 윤치영 등 당대 한국 현대사의 큰 획을 이룬 인물들이 의기투합해 국내외 인사들의 교류를 위한 서양식 클럽으로 문을 열면서 새로운 역사가 시작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폐관 24년 만에 일반 대중에게 공개

해방 후 한국 현대 정치·외교·문화계의 사교클럽이었고 막후 사랑방 역할을 해왔던 남산 ‘외교구락부’가 숭의학원에 의해 재건돼 오는 28일 오전 11시에 일반에게 공개된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 자락에 자리잡은 외교구락부는 일제 강점기에는 헌병대장 관사였으나 해방 후인 1949년 해공(海公) 신익희, 유석(維石) 조병옥, 창랑(滄浪) 장택상, 동산(東山) 윤치영 등 당대 한국 현대사의 큰 획을 이룬 인물들이 의기투합해 국내외 인사들의 교류를 위한 서양식 클럽으로 문을 열면서 새로운 역사가 시작됐다.

외교구락부를 연 이들을 중심으로 한 정치세력의 주도로 한국전쟁 전후로 혼란기를 겪던 한국 정치의 흐름이 갈피를 잡기 시작했고 정치 민주화에 대한 새로운 갈등 요인이 생성, 해소되는 등 외교구락부는 한국정치사에 있어 민주화의 산실로서의 역할을 계속해 왔다.

특히 1969년 김영삼 당시 야당 총무가 주창한 ‘40대 기수론’이 이곳에서 비롯됐고 1980년 ‘서울의 봄’ 당시 3金(김대중·김영삼·김종필)이 회동한 곳도 외교구락부였다. 1984년 동교동계와 상도동계가 힘을 합쳐 한국정치의 민주화를 이룩하자고 선언한 민추협 창립선언도 외교구락부에서 진행됐다. 1987년 군정종식을 위해 김영삼, 김대중 두 후보가 대통령 후보 단일화 회동을 한 곳이기도 하다.

이처럼 우리 정치의 민주화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굵직한 장면들이 이곳 외교구락부에서 엮여진 성명과 회동으로부터 시작됐고 외교구락부를 찾는 정치 경제계 인사들과 문화계 인사들의 발걸음으로 늘 넘쳐났다.

윤보선, 김영삼, 김대중 등 역대 대통령들은 직과 상관없이 외교구락부를 찾곤 했으며 허정, 김종필, 이철승, 박순천, 유치송 등 정계 유력자들 그리고 함석헌 사회운동가, 김수환 추기경, 한경직 목사 등 종교계 인사들과 이희승 박사와 김옥길 총장, 김동길, 천경자, 백건우, 함흥철, 최무룡, 신성일 등 학계·문화계 인사들도 자주 찾았다.

특히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딛은 우주 비행사 닐 암스트롱도 방한기간 중 외교구락부를 방문해 관련 인사들과 교류했다. 이병철 삼성회장, 정주영 현대그룹회장, 박흥식 화신그룹회장 등 재계 거물들도 외교구락부의 단골손님으로 이름이 올랐고 백선엽, 이응준 장군 정래혁, 김수한 국회의장, 이한기, 진의종 국무총리도 방명록에 올라 있다.

그러나 격동의 시기마다 중요한 막후 사랑방 무대가 됐던 외교구락부는 당시 부근에 속속 들어선 특급호텔들에 밀려 대중음식점으로 변모해 사랑방으로서의 기능을 잃고 끝내 폐업에 이르렀다.

1999년 외교구락부의 역사성과 정치사회적 기능이 다함을 아쉬워한 당시 숭의학원 백성학 이사장(현 영안모자 명예회장)은 외교구락부 터와 건물을 인수했고 외교구락부 재건을 위한 자료수집과 기초작업 끝에 2013년 숭의여자대학교 별관에 외교구락부를 재건했다. 격동기의 외교구락부를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이 한국 현대사와 민주화 과정에서 보여준 외교구락부의 소중한 역사와 기록보존을 요구해 왔기 때문이었다.

그로부터 10년 재건된 외교구락부의 내실을 위한 추가 자료수집과 보완의 시간을 거쳐 재현된 모습으로 이제 일반인에게 공개하게 된 것.

오는 28일 재개관하는 외교구락부는 역사관 카페 형태로 운영된다.

정계, 관계, 재계, 문화종교계, 외국 저명인사 등 이곳을 다녀간 역사적 인물들의 사진 자료와 친필서명 등 소중한 기록이 전시된다.

또 외교구락부와 관련 있는 사람들의 추가자료를 기증받고 수집하기 위해 외교구락부 1개 층을 별도로 준비해 향후 추가 전시를 할 계획이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