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노을’ 부른 맑은 목소리…‘원조 3대 테너’ 신영조 별세

허진무 기자 2023. 4. 16. 11: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영조 한양대 성악과 명예교수. 강윤중 기자

청아한 목소리로 박인수·엄정행과 함께 ‘한국의 원조 3대 테너’로 불린 신영조 한양대 성악과 명예교수가 뇌경색 투병 끝에 지난 14일 경기 수원시 자택에서 별세했다. 향년 80세.

고인은 1943년 경남 창녕군에서 태어났다. 중·고교 야구부에서 활동했지만 장충고 재학 때 부상으로 입원했다가 병상에서 라디오를 통해 들었던 클래식 음악에 빠져 성악가의 길로 들어섰다.

1963년 한양대 성악과에 입학했다. 고음이 올라가지 않는 좌절감에 군에 입대해 한동안 노래를 부르지 않았더니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고음 발성에 성공한 일화, 대학 복학 이후 무리한 연습으로 성대결절을 겪었지만 수술하지 않고 2년 동안 필담으로 의사소통하며 회복한 일화는 널리 알려졌다.

대학 졸업 후 이탈리아 산타체칠리아 음악원과 독일 뮌헨국립음대에서 6년간 유학했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오페라극장 독창 오디션에 합격하고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국제성악콩쿠르에서 입상했다.

1975년 한양대 교수로 임용돼 2009년 2월 정년퇴직할 때까지 34년간 후학을 양성했다. 1976~1995년 국립오페라단 단원으로 활동했고, 1976~2009년 국내외에서 100여회 독창회를 열었다.

고인은 1970~1980년대 한국 가곡 부흥기를 이끌었다. 자신의 독창회 2부는 한국 가곡만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원칙이 있을 만큼 한국 가곡을 사랑했다. 특히 작곡가 박판길(1929~1998)이 경복고 음악교사 시절 제자 유경환(1936~2007)의 시에 곡을 붙인 ‘산노을’이 일품으로 꼽혔다. TV와 라디오에 자주 출연해 ‘진달래꽃’ ‘내마음’ ‘초롱꽃’ ‘기다리는 마음’ ‘그리운 금강산’ 등을 부르며 가곡을 널리 알렸다.

유족으로 부인 이순호씨 사이에 3녀(교진·명진·경진씨)와 사위 문훈씨 등이 있다. 빈소는 한양대병원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7일 오전 6시이다.

허진무 기자 imagin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