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3대 테너’ 신영조 교수 별세

김성훈 기자 2023. 4. 15. 10: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3대 테너' 신영조(사진) 한양대 성악과 명예교수가 14일 뇌경색 투병 끝에 별세했다.

1943년 9월 경남 창녕에서 태어난 신 명예교수는 중·고교에서 야구를 하다 장충고 시절 부상을 당했다.

신 명예교수는 박인수(1938∼2023), 엄정행과 함께 '한국의 원조 빅스리(Big3) 테너'로 불리며 1970∼1980년대 한국 가곡 붐을 선봉에서 이끌었다.

신 명예교수는 2001년 뇌경색으로 쓰러졌다가 2005년 재기 독창회를 열고 다시 무대에 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옥타브 도’ 넘나드는 고음의 미성
박인수·엄정행과 빅3…‘산노을’ 유명

한국을 대표하는 ‘3대 테너’ 신영조(사진) 한양대 성악과 명예교수가 14일 뇌경색 투병 끝에 별세했다. 80세.

1943년 9월 경남 창녕에서 태어난 신 명예교수는 중·고교에서 야구를 하다 장충고 시절 부상을 당했다. 당시 병상에서 라디오로 들었던 클래식에 빠져 성악가의 길을 걸었다. 1963년 한양대 성악과에 입학했지만, 고음이 올라가지 않아 군에 입대한 2년간 노래를 중단했다. 신 명예교수는 대학 졸업 후 재차 두각을 드러냈다.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6년간 유학했고, 독일 슈투트가르트 오페라 극장 독창 오디션에 합격했다. 1975년 귀국 직후부터 모교 강단에 서 2009년 2월 정년퇴직 때까지 34년간 테너 김우경 등 400여 명의 제자를 양성했다. 1991∼2006년 국내 최초 성악 부문 단독 음악캠프인 ‘신영조 여름 음악학교’를 운영했으며, 1976∼1995년 국립오페라단 단원으로 활동했다.

신 명예교수는 박인수(1938∼2023), 엄정행과 함께 ‘한국의 원조 빅스리(Big3) 테너’로 불리며 1970∼1980년대 한국 가곡 붐을 선봉에서 이끌었다. 카랑카랑한 엄정행, 바리톤 쪽에 가까운 박인수와 달리 신 명예교수는 High-C(3옥타브 도)를 넘나드는 고음의 미성이 장기였다. 특히 작곡가 박판길(1929∼1998)이 경복고 음악교사 시절 제자 유경환(1936∼2007)의 시에 곡을 붙인 ‘산노을’을 잘 소화했다. 그는 ‘MBC 가곡의 밤’ 등 TV와 라디오에도 자주 출연해 ‘진달래꽃’ ‘내마음’ ‘초롱꽃’ ‘기다리는 마음’ ‘그리운 금강산’ 등 우리 가곡을 널리 알렸다.

신 명예교수는 2001년 뇌경색으로 쓰러졌다가 2005년 재기 독창회를 열고 다시 무대에 섰다. 월간음악 주최 ‘올해의 음악가상’(1983), 한국음악평론가협회 주최 ‘올해의 음악가상’(1996), ‘한국음악상’(1999), ‘백남학술상’(2002), MBC 가곡의 밤 ‘가곡공로상’(2008)을 받았다. 유족으로는 배우자 이순호 씨와 딸 교진·명진·경진 씨 등이 있다. 빈소는 한양대병원 장례식장 5호실이며, 발인은 17일 오전 6시다.

김성훈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