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파격으로 가득한 CUV,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2023. 3. 27. 08: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UV의 다재다능함·높은 가격대 가치
 -국내 생산 지속가능성 걸어

 쉐보레 소형 SUV인 트랙스가 '크로스오버'란 이름을 붙이고 돌아왔다. 그저 그런 SUV가 아니라 승용 감각을 강조해 크루즈, 말리부 등 사라진 쉐보레의 세단 수요까지 끌어들이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다행히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핵심 시장으로 꼽히는 미국에서의 반응은 뜨겁다. 메리 바라 GM 회장 역시 새 차에 대해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렇다면 생산국인 한국에선 어떨까? 까다롭기로 소문난 국내 소비자들의 요구에 잘 대응할 수 있을지 직접 경험해봤다.



 ▲크로스오버 장점 극대화한 디자인
 외관은 쉐보레 중형 SUV인 블레이저를 압축한 느낌이다. 앞뒤 곳곳에 크로스오버를 상징하는 'X'자 모양의 선 처리를 구현한 점도 돋보인다.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디자인에 따라 액티브와 RS로 구분한다. 시승차는 액티브로, 아웃도어 라이프 스타일과 세미 오프로드에 어울리는 형태를 지녔다. 아래쪽이 더 넓은 그릴과 지상고를 강조하는 범퍼 디자인, 18인치 타이어 등이 특징이다. RS는 온로드 특성을 위해 'X'자 그릴 장식을 짙게 칠하고 19인치 타이어를 장착했다.





 옆모습은 지상고가 높은 왜건의 비율이다. 두터운 클래딩은 SUV 특성뿐만 아니라 차체를 더 날씬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도 가져왔다. 날렵한 캐릭터라인과 긴 휠베이스, 가파르게 상승하는 C필러 디자인도 두드러진다.



 뒷모습은 양쪽 테일램프를 멀찍이 떨어트려 차폭이 더 넓어 보인다. 트렁크 도어에 램프를 추가하지 않아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트렁크 패널에도 'X'자 모양의 선 처리를 반영해 크로스오버임을 암시했다. 차체 크기는 길이 4,540㎜, 너비 1,825㎜, 높이 1,560㎜, 휠베이스 2,700㎜다. 현대차 코나, 기아 셀토스보다 크고, 르노코리아 XM3와 비슷한 체격이다.






 실내는 넓은 폭과 긴 휠베이스를 앞세워 소형의 한계를 벗어던진 느낌이다. 여기에 겹겹이 세운 느낌의 디스플레이와 입체적인 대시보드 구성이 시선을 끈다. 8인치 디지털 계기판은 쉐보레답게 그래픽 구성이 단출한 편이다. 정보를 표시하는 제 역할에는 충실하지만 여백이 많다. 11인치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센터페시아는 운전자를 향하도록 9도 기울어져 있어 조작이 쉽다. 애플 카플레이와 안드로이드 오토는 무선 연결을 지원한다. 스마트폰 무선 충전, 통풍 및 열선 좌석 등도 준비했다. GM은 이보다 기존 쉐보레 제품에서 보기 힘들었던 오토 홀드, 전동식 트렁크 도어 등 한국 소비자들을 위한 품목을 챙겼다는 점을 강조했다.




 소재는 대부분 플라스틱을 활용했지만 섬세한 마감 처리를 통해 저렴해 보이지 않도록 했다. 예전 쉐보레 제품에 없었던 기교다. 시트 포지션은 의외로 낮다. 크로스오버를 지향하는 만큼 세단과 SUV의 중간쯤이다. 타고 내리는 데 불편함이 적은 높이다.

 뒷좌석은 차급 이상을 선사한다. 다리 공간과 머리 공간 모두 넉넉해 패밀리카로 손색이 없다. 다른 차급을 비교하자면 중형 세단 정도가 될 것 같다. 트렁크는 기본 414ℓ이며 6:4 비율의 뒷좌석을 다 접으면 1,405ℓ까지 늘어난다. 앞좌석을 앞으로 당기고 뒷좌석을 접을 경우 차박도 가능하다.

 ▲경쾌함 그 자체의 주행 성능
 동력계는 1.2ℓ E-터보 프라임 엔진과 GEN Ⅲ 6단 자동변속기의 조합이다. 스파크가 단종되면서 쉐보레 브랜드 중 가장 낮은 배기량을 갖게 됐다. 그럼에도 엔진의 동력은 2.0ℓ 자연흡기 수준을 웃도는 최고출력 139마력, 최대토크 22.4㎏·m를 발휘한다.


 가속력은 일상 주행에선 부족함이 없다. 스로틀을 다 열 경우엔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만 전반적으로 무난하다. 변속기의 제어 로직도 인상적이다. 빠릿하진 않지만 충격없이 기어를 바꿔나가 기분 좋게 속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 모나지 않은 파워트레인 덕분에 저공해차 3종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연료 효율은 복합 12.4㎞/ℓ(18인치 휠 기준)를 인증 받았다.

 1.3t에 불과한 차체 무게도 경쾌한 달리기를 돕는다. GM은 스마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차체 무게를 최적화했다. 설계 과정에서 쏠리는 부분이 있으면 덜어내 균형을 맞췄다. 주행 감각은 새 설계 방식과 GM 특유의 기본기를 앞세워 달리는 맛이 난다. 승차감은 부드러운 것을 선호하는 북미 특성을 반영해 부드럽다. 출렁임이 제법 있는 편이지만 SUV보다는 세단 수준의 움직임을 보여 크게 불편하지는 않다. 핸들링은 액티브보다 타이어가 더 얇은 RS가 더 나을 수 있겠다.


 진동이나 소음은 기대 이상이다.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을 기본으로 채택한 효과다. 스피커로 소음의 반대 주파수를 내보내 소음을 덮는다. 노면 소음 뿐만 아니라 고속에서도 어지간한 잡음은 잡아낸다.

 ▲역대 최고의 가성비를 지닌 쉐보레 라인업
 트랙스 크로스오버를 언급할 때 절대 빠지지 않는 단어가 '가성비'다. 한때 차급 이상의 가격 책정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원성을 샀던 브랜드가 이번에 달라졌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단순히 높은 가격대 가치만 보여주진 않는다. 전반적인 상품성이 소비자 친화적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GM이 한국에서도 실적에 자신있어 하는 이유를 알아채는 데엔 그리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가격은(개소세 인하 기준) LS 2,052만원, LT 2,366만원, 액티브 2,681만원, RS 2,739만원이다.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 [시승]토종 전기 마을버스의 힘, 현대차 일렉시티 타운
▶ [시승]정교함으로 무장한 벤츠 EQS 450+
▶ [시승]섬세하고 꼼꼼한 SUV, 르노코리아 QM6
▶ [시승]궁극의 전동화, 마세라티 그란 투리스모 폴고레

Copyright © 오토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