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경성]식민지 상류층의 인기 메뉴, 조선호텔 2원50전짜리 定食

김기철 학술전문기자 2023. 3. 25. 06: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 라이브러리 속의 모던 경성]여운형도 종종 다녀…심훈 소설 ‘불사조’, 김말봉 ‘찔레꽃’에도 등장
1935년 조선중앙일보 사장을 지낸 여운형. 월간 '삼천리'는 손님과 함께 자동차로 조선호텔 식당을 찾는다고 소개했다.

일제시대 제3의 민간지 조선중앙일보 사장을 지낸 여운형은 점심 때면 손님과 함께 자동차를 몰아 조선호텔 식당 ‘정식’(定食)을 이용했던 모양이다. 월간지 ‘삼천리’(1935년3월호)는 여운형이 식후 ‘로-스까-덴’을 산책하며 신문사 운영의 경륜을 도모하거나 회사를 위한 교제도 한다고 소개했다. 조선중앙일보가 있던 견지동 111번지는 지금도 NH농협은행 지점으로 쓰고 있다. 2013년 서울 미래유산으로 지정된 근대문화재이기도 하다. 조선호텔까지는 1.2㎞쯤 되는 거리다.

1914년 3층짜리 관영 철도호텔로 개업한 조선호텔은 당시 조선에서 유일하게 엘리베이터가 있는 건물이었다. 환구단(圜丘壇)을 배경삼아 양식(洋食)을 먹을 수 있는 고급 식당이 있었다. 업무, 관광차 온 외국인이나 일부 부유층이 이용하던 식당이었다.

◇조식 1원50전, 저녁은 3원50전

여운형이 즐긴 조선호텔 ‘정식’은 가격이 얼마쯤이고, 어떤 음식이었을까. 정식은 한상에 음식을 모두 내는 것과 달리, 음식을 하나씩 순서대로 내는 ‘코스요리’를 가리켰다. 상록수 작가 심훈이 1931년 조선일보에 연재한 소설 ‘불사조’에는 조선호텔 식당 음식 가격이 나온다. 바이올리니스트 계훈이 독일인 아내 줄리아와 조선호텔에 한달간 묵으며 경성공회당에서 귀국독주회를 갖는 설정이기 때문이다.

‘양식이 아니면 먹지 못하니까 아침에 1원50전, 점심에 2원, 저녁에 3원50전 합하면 하루에 식대만 7원이요, 심심해서 여자 혼자는 먹을 재미가 없어하니까 계훈이까지 두 사람에 14원이다.방세(10원)까지 얼르면 하루의 비용이 먹고 자는데만 26원이다.’( ‘불사조’4회, 조선일보 1931년8월19일)

‘코스요리’ 가격은 아침 1원50전, 점심 2원, 저녁 3원50전이었다. 당시 설렁탕 가격이 10전~12전 정도였으니, 여운형이 먹은 정식은 설렁탕 20그릇쯤 먹을 수 있는 비싼 음식이었다. 두명이 조선호텔에 한 달 묵는 비용은 얼추 900원이었다. 계훈의 아버지는 전라도 아전 출신으로 경술국치 전해인 1909년 300석 지기 땅을 바치고 장관 자리를 살 만큼 부자였다. 하지만 이런 재력으로도 감당하기 어려운 호텔비였다.

김말봉 연재소설 '찔레꽃'에서 조선호텔 식당을 스케치한 웅초 김규택의 삽화. 디저트를 먹고 있는 장면이다. 조선일보 1937년7월21일자

◇콘소메와 로스트비프, 디저트는 샤벳 또는 아이스크림

박현수 성균관대 교수에 따르면(‘식민지의 식탁’ 270쪽), 1936년 조선호텔 코스 요리는 이랬다. 먼저 콘소메와 레터스 샐러드가 에피타이저로 나오고, 메인으로 오리 간 구이와 로스트비프가 나왔다. 디저트로는 자몽 소르베와 바닐라 아이스크림을 제공했다. 요즘 기준으로 봐도 훌륭한 정찬(正餐)이다. 1932년 호텔 선전 팸플릿을 보면, 아침식사는 일본식이 1원50전, 서양식이 1원75전, 점심은 2원50전, 저녁은 3원이었다. 모두 코스 요리다. 1년전 ‘불사조’에 비해 아침과 점심 식사가 약간 올랐다. 양식 호텔이지만 일본식 아침을 제공하는 서비스도 있었다. 홍차나 커피는 40전씩 받았다. 당시 다방, 카페의 홍차, 커피 값이 보통 10전이었으니 네 배 정도 비싼 값이었다. 토스트나 쿠키를 곁들여 내놓았다고 한다.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발행한 조선호텔 엽서. 이 호텔 식당은 경성 최고의 양식당으로 소문났다. /서울역사박물관
1932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만든 조선호텔 안내팸플릿./서울역사박물관
1932년 조선총독부철도국이 발행한 조선호텔 팸플릿. 양식 조식은 1원75전, 점심은 2원50전, 저녁은 3원으로 소개하고 있다./서울역사박물관

◇냅킨 무릎에 덮고, 빵에 버터 발라…

조선호텔 식당 풍경을 알려주는 작품이 또있다. 김말봉(1901~1961)이 1937년 조선일보에 연재한 ‘찔레꽃’이다. 생계를 위해 은행장(두취)집에 가정교사로 들어가는 정순이 주인공이다. 상류층 가정에서 생활하다 보니 미쓰코시 백화점이나 조선호텔 식당이 등장한다. 당시 사람들이 선망하던 장소였기에 적극적으로 작품속에 끌어들였을지도 모르겠다. 정순과 그의 애인 민수, 가정 교사로 있는 집 딸 경애와 경구 남매가 함께 조선호텔 식당에서 저녁 식사하는 장면이다. 원구단이 있는 후원 테이블에서 대기하다 호텔 직원 안내를 받아 식당 안으로 들어가는 방식이었던 모양이다.

“뽀이가 와서 저녁 준비가 다 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그리고 네 사람은 식당으로 들어갔다. ‘나를 보자 입을 다물어 버렸다. 민수씨가….’ 나푸킨을 무릎위에 올려놓는 정순의 손가락은 테-불 아래서 질서없이 떨리고…민수는 빵을 뚝 떼어 빠다를 바르면서 속으로 고개를 끄덕였다. ‘저 두 사람을 경구과 정순을 결혼을 시킨다? 정순이가 경구에게로 갈까?갈까?아니 아니’”( ‘찔레꽃’83회, 조선일보 1937년7월21일) 무릎에 냅킨을 깔고, 빵에 버터를 바르는 양식 정찬의 일부가 소개된다.

◇월급쟁이에겐 ‘넘사벽’

조선호텔 양식당은 화신백화점은 물론 당시 경성 사람들에게 가장 인기있다는 미쓰코시 백화점(현 신세계백화점 본점) 4층 식당의 ‘난찌’(점심)보다도 한 수위였다. 채만식(1902~1950)이 1938년 월간지 ‘조광’에 연재한 ‘태평천하’엔 기생 춘심이 윤직원 영감에게 미쓰코시 백화점에 가서 ‘난찌’를 먹자고 조르는 대목이 나온다. 그 미쓰코시 백화점의 ‘난찌’는 1원50전짜리 양식 세트였다. 1930년대 조선인 박흥식이 운영한 백화점은 양식도 팔았지만 70전짜리 한식 정식세트도 인기가 높아 월급쟁이 가장도 가족을 위해 호기를 부리기도 했다.

하지만 조선호텔 식당은 20~30원 받는 월급쟁이들은 넘보기 어려운 ‘넘사벽’이었다. 객실과 조식, 수영장을 묶은 ‘호캉스’ 이용기가 소셜미디어마다 넘쳐나는 요즘 세태로 보면, 참 고릿적 얘기다.

◇참고자료

‘신사숙녀 신분조사서’, 삼천리 제7권제3호, 1935년3월호

박현수, 식민지의 식탁, 이숲, 2022

조선 뉴스라이브러리 100 바로가기

※'기사보기’와 ‘뉴스 라이브러리 바로가기’ 클릭은 조선닷컴에서 가능합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