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열의 물이야기]세계 물의 날, 수명(水命)을 늘리는 법

송길호 2023. 3. 22. 06: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중열 물복지 연구소장·전 한국수자원공사 처장]‘화장실과 처갓집은 멀수록 좋다’는 옛말이 있다. 말 그대로 옛말이다. 옛날 집 울타리 안에서 가장 외진 곳에 있던 ‘변소’는 이제 화장실 아닌 욕실이란 이름으로 아예 실내, 그것도 안방 옆에 버젓이 자리하고 있다. 하수처리 기술의 발전 덕분이다. 이제 ‘화장실과 처갓집은 가까울수록 좋다’로 바꿔야 한다.

우리나라는 1976년에야 최초로 도시 하수처리장인 청계천하수처리장을 건설했다. 서울올림픽이 열리기 불과 12년 전이다. 건설 당시만 해도 하수처리장이라면 ‘더럽고 지저분한 물’, ‘악취가 나는 곳’ 등의 혐오시설로 인식됐었다. 그런데 하수처리 기술이며 시설이 선진국들의 수준 이상으로 발 빠르게 발전했다. 혐오시설이던 하수처리장이 IOT 및 AI 기술에 힘입은 하수처리기술 및 최첨단 시설 관리로 주민 친화시설로 변모했다.

세수를 하면 ‘쌩얼’이 드러나는 단순한 화장이 아니다. 수지구 죽전동 수지아르피아 포은아트홀 지하에 ‘수지레스피아’라는 하수처리 시설이 있다. 수지구와 기흥구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하수 15만t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의 시설이다. 주민들이 기피하는 하수시설을 지하화하고, 상부에는 문화체육시설을 설치한 전국 최초 사례다. 도심 속 공원과 생활체육 공간으로 수영장, 배드민턴장, 축구장이 있다. 포은아트홀에선 오페라 등 각종 공연이 상시 열리고 상부 공원은 연인끼리 데이트를 즐기고 할머니 할아버지가 자주 찾는 산책 코스가 됐다.

반면 유감스럽게도 이들 몇 곳 이외의 많은 하수처리시설들이 ‘수준 이하’인 것도 현실이다. 하수종말처리시설들은 지자체 관리 영역이다. 대부분의 지자체가 이들 시설을 민간에 위탁해 관리하고 있다. 위탁받은 민간업체가 잘 운영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운영 대가가 적어 관리에 고급인력을 투입하지 않는다. 계약직이나 아르바이트 인력 위주로 운영관리를 하다 보니 책임 있는 처리를 기대하기 어렵다.

환경부가 현재 제3종처리시설(200㎥~700㎥)까지 의무화한 TMS 설치기준을 확대할 필요도 있다. 제4종(20㎥~200㎥) 사업장에 대해서도 배출수질 오염농도 기준을 설정하고 TMS 설치 및 관리를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동시에 전문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운영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규모 기업에 업무처리 절차며 측정기기 유지관리, 수질TMS 제도에 대한 이해 등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가 할 일 외에 우리가 할 일은 없을까? 요즘 하수처리의 새로운 과제는 미세플라스틱이다. 미세플라스틱의 46%가 합성섬유 등을 세탁할 때 배출된다. 이들이 전량 하·폐수처리장으로 유입지만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처리수가 방류된 하천에서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는 연구 결과도 다수 있다. 하천에 흘러든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먹는 물로도 유입될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을 줄이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플라스틱 용기 대신 유리 용기를 사용하고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생수보다는 수돗물을 마셔야 한다. 플라스틱 생수병에 든 물만 마실 경우 연간 9만 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마시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 여과되지 않은 수돗물보다 22배나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게 된다는 것이다.

마침 22일은 UN이 제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1992년 날로 심각해지는 물 부족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기 위해 제47차 UN 총회에서 이날을 ‘세계 물의 날‘로 제정하고 선포했다. ‘OECD 환경전망 2050’ 보고서는 한국이 2050년엔 OECD 국가중 가장 심한 물 스트레스를 겪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민연금 예상 고갈 시기보다 더 빠르다.

우리나라의 연간 강수량은 세계 평균 813㎜보다 많은 1300㎜이지만 국토가 좁고 인구 밀도가 높아 1인당 연간 총 강수량은 2546㎥로 세계 평균 1만 5044㎥의 6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버리는 물도 잘 버리고 아껴 다시 써야 한다. 이젠 하수도 소중한 자원이다.

송길호 (khso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