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순자산 상위 1%’ 기준 32.8억원…부동산 80%↑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순자산 상위 1% 기준은 32억8000만원이상으로 조사됐다.
이들 가구의 자산 중 80% 이상은 부동산이었으며, 주식 등 직접 투자 비율이 전체 가구 평균의 2배가 넘었다.
15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기준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2억7920만원이었다.
지난해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평균 자산은 53억6882만원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득 2.1억원, 전체 평균의 3.4배…재산소득 17배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우리나라 순자산 상위 1% 기준은 32억8000만원이상으로 조사됐다. 이들 가구의 자산 중 80% 이상은 부동산이었으며, 주식 등 직접 투자 비율이 전체 가구 평균의 2배가 넘었다.
15일 통계청의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기준 상위 1% 가구의 기준선은 32억7920만원이었다.
이는 표본 가구를 순자산 상위 순으로 나열한 뒤, 각 가구의 가중치를 고려해 상위 1%에 해당하는 가구의 순자산을 산출한 결과다.
2021년(29억원)과 비교하면 순자산 상위 1%의 기준선은 3억7920만원 올라갔다.
지난해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평균 자산은 53억6882만원이었다. 이중 부동산 자산이 43억7249만원이었다. 전체 자산의 81.4%에 해당한다. 이는 전체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 비중(73.7%)보다 높다.
금융 자산은 9억91만원으로 16.8%를 차지했다. 금융자산의 84.8%가 저축액(7억6376만원)이었다. 상위 1% 가구의 부채는 평균 5억1666만원이었다.
여유자금 운용 방법으로는 상위 1% 가구의 60.3%가 저축과 금융자산을 꼽았다. 전체 가구 평균(47.9%)보다 높은 비율이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은행 예금(45.8%), 주식 등 직접투자(26.5%) 순으로 높았다.
전체 가구와 비교했을 때 은행 예금은 20.8%포인트 낮고 주식 등 직접투자는 14.9%포인트 높았다. 전체 가구가 선호하는 금융자산 운용 방법은 은행 예금이 66.6%, 주식 등 직접투자는 11.6%였다.
상위 1% 가구의 펀드 등 간접투자 비율(8.6%)도 전체 가구(1.7%)보다 높았다. 여유자금을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는 상위 1% 가운데 38.4%에 그쳐, 의사가 없는 가구(61.6%)가 더 많았다.
전체 가구 중에서는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가 58.0%, 의사가 없는 가구가 42.0%였다.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상위 1%가 선호하는 부동산 유형은 아파트(51.8%), 상가·오피스텔 등 건물(29.9%) 순으로 높았다. 전체 가구보다 아파트 비율은 10.8%포인트 낮고 건물은 14.1%포인트 더 높았다.
상위 1% 안에 드는 가구의 소득은 평균 연 2억1632만원이었다. 전체 가구 평균 소득(6414만원)의 3.4배 수준이다. 근로소득이 9328만원, 사업소득이 3985만원, 재산소득이 7247만원이었다. 사업소득은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얻는 순수입을, 재산소득은 임대·이자·배당 등으로부터 얻는 소득을 각각 말한다.
상위 1%의 근로소득은 전체 가구(4125만원)의 2.3배, 사업소득은 전체 가구(1160만원)의 3.4배였다. 전체 가구의 재산소득은 평균 426만원에 그쳐, 상위 1%와의 격차는 17배에 달했다.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는 소득·지출·원리금 상환액의 경우 2021년, 자산·부채·가구 구성 등은 지난해 3월 말을 기준으로 한 조사로 최근 상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위 1% 안에 드는 표본 가구가 많지 않은 만큼 통계적 유의성에 주의해야 한다.
oskymo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모두 완판입니다” ‘반값’ 역대급 가성비에 동난 삼성 제품
- “너무 촌스러워 10년 전 제품인줄” 한국서 3백만원에 판다는 일본 ‘배짱’
- “촌지 안준다고 코피 터트렸죠, 잘 사세요?”…‘교사폭력’ 폭로 확산
- “똑같은 현수막을 3개씩 걸어?” 현수막 쓰레기 스트레스 [지구, 뭐래?]
- “보청기 같다고 무시당하더니” 애플 이어폰 진짜 이렇게 달라지나?
- “인서울 꿈 이뤘어요”…서울 집값 빠지자 지방부자는 웃었다 [부동산360]
- “골프복 10만원이나 더 싸다?” 40대 빠진 중국 직구앱, 알고보니
- "더글로리 박연진 둔기 팔아요"…공병이 무려 5만원 '이 술' 뭐길래
- [영상]"노점단속이야, 조폭이야" 채소 팔던 할머니 패대기…누리꾼 공분
- “나도 사고 싶은데”…정작 아재는 못사는 ‘아재술’ [언박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