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종운의 입시 컨설팅] 주요 대학 '로스쿨' 합격 안정 점수는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 2023. 3. 12. 07: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합격자 리트 평균 고려대 백분위 94.5%, 연세대 표준점수 136점
대학별 전형방법·선발결과 확인해야…스터디로 리트·면접 대비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

(서울=뉴스1)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 = 최근 5년간 고려대·연세대·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신입생 선발 결과에 따르면, 모교 출신 비율은 고려대가 301명(전체 합격자의 49.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연세대 294명(46.5%) 성균관대 167명(35.7%) 등 순이었다.

올해 신입생의 성별을 보면 고려대 로스쿨의 경우 남자가 67명(54.5%)으로 여자 56명(45.5%)보다 많았다. 반면 연세대는 여자 64명(51.6%) 남자 60명(48.4%) 성균관대는 여자 69명(52.3%) 남자 63명(47.7%)으로 여학생이 더 많았다.

전년도 고려대 남자 81명(66.4%) 여자 41명(33.6%) 연세대 남자 58명(46.8%) 여자 66명(53.2%) 성균관대 남자 79명(59.8%) 여자 53명(40.2%) 등과 비교하면 성균관대 로스쿨은 처음으로 여자 합격자가 많았다.

고려대 로스쿨은 최근 5년간 합격자 중 고려대 출신이 301명(49.0%)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대 171명(27.9%) 연세대 25명(4.1%)으로 이른바 'SKY대' 출신이 81.0%를 차지했다.

다만 성균관대 출신 신입생이 31명(5.0%)으로 연세대 25명(4.1%)보다 많았다. 한양대 15명(2.4%) 카이스트 14명(2.3%) 경찰대 10명(1.6%) 이화여대 8명(1.3%) 포스텍 6명(1.0%) 경희대 5명(0.8%)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고려대 로스쿨 일반전형 합격자의 법학적성시험(LEET·리트) 평균 점수는 언어 78.832점(80점 만점) 추리 118.482점(120점 만점)이다. 학점 평균은 197.367점(200점 만점)이었다. 평균 점수를 백분위 성적으로 환산하면 리트 언어는 94%, 추리는 95%이고 학부 성적은 96.25% 정도다.

일반전형 합격자 상위 75%의 리트 성적은 언어 78.4점, 추리 118.2점, 학부 성적 196.57점이다. 백분위로 환산하면 언어 92%, 추리 94%, 학부 성적은 95.1%에 해당한다.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연세대 로스쿨은 최근 5년간 연세대 출신이 294명(전체 합격자의 46.5%)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대 197명(31.2%) 고려대 47명(7.4%)으로 'SKY대' 출신이 85.1%를 차지했다.

이어 성균관대 18명(2.8%) 경찰대 17명(2.7%) 한양대 13명(2.1%) 이화여대 9명(1.4%) 카이스트 8명(1.3%) 포스텍 6명(1.0%) 서강대 6명(0.9%) 등 순이다.

연세대 로스쿨 일반전형 합격자의 리트 평균은 언어와 추리영역을 합쳐 140.47점(150점 만점) 학부 성적은 평균 147.00점(150점 만점)이었다. 리트 평균점수와 학부성적을 각각 표준점수·백분위로 환산하면 리트 평균점수는 언어·추리 합계 136점, 학부 성적은 백분위 97% 수준이다.

일반전형 합격자 상위 75%의 리트 평균은 138.90점, 학부성적은 146.05점이었다. 표준점수·백분위로 환산하면 리트 표준점수는 132점, 학부 성적은 백분위 96% 정도다.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성균관대 로스쿨은 최근 5년간 서울대 출신 합격자가 181명(전체 합격자의 38.7%)으로 가장 많았다. 자교 출신은 167명(35.7%) 고려대 106명(22.6%) 연세대 81명(17.3%) 등이었다.

경찰대 29명(4.5%) 서강대 14명(2.2%) 한양대 7명(1.1%) 이화여대 7명(1.1%) 서울시립대 6명(0.9%) 경희대·한국외대·동국대 각 5명(0.8%) 등이 뒤를 이었다.

2023학년도에는 성균관대 출신이 41명(31.1%)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대 출신은 39명, 고려대 24명, 연세대 15명, 서강대 4명, 경찰대 3명, 중앙대 2명 등이었다.

성균관대 일반전형 합격자의 리트 평균은 언어와 추리영역 표준점수를 합쳐 138.2점, 학부 성적은 평균 94.7점(백분위 환산점수)이었다. 영어 성적은 4.9점(5.0점 만점)으로, 이는 토플 115∼117점, 토익 970∼985점, 텝스 471∼557점에 해당한다.

일반전형 합격자 상위 75%의 리트 평균은 134.1점, 학부 성적은 93.4점이었다.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 희망대학 리트·학부성적·어학성적 컷 확인해야…자소서·면접도 준비

아직 대학별 2024학년도 로스쿨 모집요강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로스쿨 준비생은 2023학년도 전형 방법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고려대는 2023학년도 1단계 서류평가로 리트 성적 200점, 학부성적 200점, 자기소개서 100점, 외국어능력(P/F)으로 모집인원의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는 1단계 성적(500점)과 구술면접 100점을 합산해 선발했다.

연세대는 1단계에서 리트 성적 150점, 학부성적 150점, 서류평가(자기소개서 등) 100점, 공인영어성적(P/F)을 반영했다. 2단계는 1단계 성적(400점)과 구술면접 50점을 합산해 선발했다.

성균관대는 1단계 전형에서 리트 성적 30점, 대학성적 30점, 어학성적 5점, 서류심사(자기소개서 등) 20점, 어학성적 20점을 반영했다. 2단계는 1단계 성적(85점)과 심층면접 50점을 합산해 합격자를 선발한다.

2024학년도 리트는 오는 7월23일 실시하고, 원서접수 기간은 5월23일부터 6월1일 오후 6시까지다. 성적은 8월22일 발표된다. 로스쿨별 원서 접수는 9월 말부터 진행된다.

각 로스쿨의 2023학년도 신입생 선발 결과는 이달 중 모두 공지된다. 희망하는 로스쿨별로 정량평가의 핵심이 되는 리트성적·학부성적·어학성적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자기소개서, 2단계 구술면접 등도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비생들은 리트·면접 대비 스터디모임 등 자신만의 효율적인 수험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