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화장품 재료로…사료는 편의점 폐기식품

이희조 기자(love@mk.co.kr) 2023. 3. 8. 16: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빵·사료에 활용…부화에서 출하까지 두세 달
갈색거저리 유충이 7일 충북 오송읍에 위치한 곤충업체 케일의 사육동에서 자라고 있다. [출처=농림축산식품부 공동취재단]
“이렇게 작은 벌레가 커서 과자나 화장품의 재료가 된다니 신기하지 않나요?”

7일 찾은 식용곤충 업체 케일의 사육동에는 넓은 상자 여러 개가 줄지어 서 있었다. ‘밀웜’이라 불리는 갈색거저리 유충들이 자라는 공간이었다. 성충 교배부터 알 부화, 유충 관리, 제품 소재화까지 갈색거저리 사육의 모든 과정이 사육동에서 이뤄지고 있었다. 김용욱 케일 대표는 “애벌레에서 성충이 돼 알을 낳기까지 전체 공정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보유 중”이라고 말했다.

케일은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에 자리한 농업회사법인이다. 농업회사법인은 농산물을 출하·유통·가공하는 회사다. 케일은 갈색거저리 유충에서 식품·화장품용 기름이나 반려동물 사료용 단백질 등을 추출해 판매한다. 갈색거저리가 알에서 나와 상품으로 만들어지기까지는 80~90일이 걸린다.

오뚜기와 대웅제약, 사료업체 펫스미스 등이 케일로부터 곤충 원료를 받아 식품과 화장품 제조에 활용하고 있다. 케일은 자체 제작 과자 ‘희망건빵’과 사료 ‘인섹트 파워’ 등도 판매한다. 하지만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보다는 기업-기업 간 거래(B2B)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유통기한 지난 라면·곡물부산물 먹고 자라
곤충업체 케일 소속 직원이 7일 충북 오송읍 공장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과자를 분쇄기에 넣고 있다. 갈린 과자는 갈색거저리의 먹이로 쓰인다. [출처=농림축산식품부 공동취재단]
갈색거저리 사육에는 큰 비용이 들지 않는다. 갈색거저리는 유통기한이 지나 버려지는 음식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케일은 충북 음성에 있는 CU 음성 집하센터에서 유통기한을 초과한 라면, 과자, 젤리 등 가공식품을 받는다. 이후 가공식품을 잘게 갈아 가루로 만들어 탄수화물 먹이로 쓴다. 단백질은 곡물에서 알갱이를 빼고 남은 껍질 등으로 충전해준다.

곤충산업 육성은 가루쌀, 스마트팜 등과 함께 윤석열 정부 농림축산식품부 5대 과제 중 하나다. 국내 곤충산업 규모는 점차 커지고 있다. 지난 2021년 기준 국내 곤충 판매액은 446억원이다. 2020년(414억원)보다 7.7% 오른 수치다. 곤충업 신고 농가·법인도 2020년 2873곳에서 2021년 3012곳으로 4.8% 늘었다. 생산업체가 2845곳으로 가장 많고 유통업체가 1385곳, 가공업체는 554곳이다.

정부가 곤충산업에 열을 올리는 것은 세계 곤충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곤충산업이 아직은 성장 초기인 세계시장에 합류해 주도권을 쥐어야 한다는 것이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세계 곤충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8억8200만달러(약 1조1600억원)인데 내년에는 21억640만달러(약 2조78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가축 유산균 사료에 섞어 농가 악취 없앤다
그린바이오 업체 선바이오가 제조한 미생물 사료첨가제가 7일 천안 공장에 놓여 있다. [출처=농림축산식품부 공동취재단]
미생물 등을 이용해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 그린바이오 산업 역시 윤 정부의 주요 과제다. 이날 방문한 천안의 축산용 미생물제제 제조업체 선바이오는 그린바이오 기업으로 분류된다. 선바이오는 미생물로 사료첨가제를 만들어 축산농가에 판매한다.

이 첨가제는 소·돼지 등을 기르는 축산농가의 악취 저감에 효과가 있다는 게 선바이오 측 설명이다. 김선기 선바이오 대표는 “첨가제를 사료에 넣어주고 나니 가축의 장내 미생물 건강지표가 높아지고 변 악취가 개선됐다”며 “이는 탄소 저감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국내 미생물 산업도 곤충산업과 마찬가지로 성장세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농업미생물제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3362억2400만원이다. 5년 전이었던 2016년(1928억1000만원)부터 연평균 11.8% 성장했다. 세계시장 규모는 53억6000달러(약 6조9900억원)로 추정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