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프닝에 한숨 돌린 노랑풍선·JTC…관리종목 꼬리표 떼나

양지윤 2023. 3. 3.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경영난에 시달렸던 노랑풍선과 JTC가 리오프닝(경재활동 재개)을 맞아 관리종목 탈출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JTC는 경영 정상화 차원에서 지난해 글로벌 사모펀드 투자회사인 어펄마캐피탈에서 500억원을 수혈 받아 세전손실률은 낮춘 상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랑풍선, 지난해 매출액 220억
외형 성장에 관리종목 리스크 해소
"올 1분기 턴어라운드…커지는 연간 흑자 기대감
JTC, 상폐 요건 해소…관리종목 탈출은 내년에나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경영난에 시달렸던 노랑풍선과 JTC가 리오프닝(경재활동 재개)을 맞아 관리종목 탈출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지난해 하반기 해외여행이 본격화된 이후 회사 경영에 숨통이 트이고 있어서다.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노랑풍선(104620)은 지난해 높은 매출 성장률을 보이며 관리종목 탈피에 청신호가 켜졌다. 노랑풍선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22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2% 급증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209억원, 240억원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영업손실 규모는 커졌지만 관리종목 지정으로 인한 리스크는 벗어던지게 됐다. 노랑풍선은 지난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았다. 매출액이 29억원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3월 한국거래소로부터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코스닥 상장사들은 연 매출이 30억원 미만이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이듬해에도 매출액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오르게 된다.

매출 회복에도 수익성이 뒷걸음질친 이유는 경영 정상화 과정에서 자금 투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국내외 코로나19 방역규제 완화로 여행시장 회복을 예상하며 직원 근무를 정상화한 데다 마케팅을 재개하며 비용이 증가한 것이다.

올 1분기에는 리오프닝 효과가 가시화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 동남아 지역 여행객이 급증하면서 노랑풍선을 포함한 주요 여행사들이 흑자전환에 성공하거나 손실 규모를 대폭 축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노랑풍선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해외여행 수요가 늘어 1분기에는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본과 동남아 지역 외 지역의 수요도 늘려나가며 흑자전환 시기를 최대한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에서 사후 면세점을 운영하는 JTC도 한·일 하늘길이 다시 열리면서 회복세를 맞았다. JTC는 지난 2020년부터 2년 연속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세전손실)이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해 지난해 5월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지난해도 세전손실이 자기자본의 50%를 넘어설 경우 상장폐지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 JTC는 경영 정상화 차원에서 지난해 글로벌 사모펀드 투자회사인 어펄마캐피탈에서 500억원을 수혈 받아 세전손실률은 낮춘 상태다.

다만 흑자로 전환해야 관리종목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다. JTC의 작년 3분기(3~11월, 2월 결산법인) 누적 영업손실 규모는 148억원이다. 마지막 분기(작년 12월~올해 2월) 영업이익이 최소 148억원을 넘어야 관리종목 탈피가 가능하다는 얘기다. 설 명절 전후 일본여행 수요가 급증해 실적은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불과 석 달 만에 3개 분기의 적자를 메우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JTC 관계자는 “작년 어펄마캐피탈 대상 유상증자로 자본을 확충해 상장폐지 우려는 해소됐지만, 연간 기준 적자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올해 매출 목표는 코로나 이전 대비 50%로, 중국 수요 회복까지 더해질 경우 흑자전환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실적 회복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윤 (galile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