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디스인플레 아직 아니다"···월가 "기준금리 6% 넘을수도"

뉴욕=김흥록 특파원 2023. 2. 26. 18: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인플레 우려 장기화 조짐]
◆美 1월 PCE가격지수 5.4% 상승
달러지수 105로 7주간 올라
2년물 국채금리도 16년來 최고
고용호조→소비증가→물가상승
통화정책 전환은 당장 힘들어
향후 세차례 0.25%P씩 인상 유력
EU·日 등도 물가압력 거세질 듯
[서울경제]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1월에 다시 가중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강화 전망에 시중 금리가 치솟고 그동안 주춤했던 달러 가치도 급상승하고 있다. 물가발(發) 경제 불안이 미국을 넘어 세계 경제에 ‘연쇄효과(Spill-over Effect)’를 예고하고 있다.

24일(현지 시간) 발표된 1월 미국 개인소비지출(PCE)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5.4% 올라 전월(5.3%)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전월 대비 역시 0.6%를 기록해 전월(0.2%)보다 높았고 시장 전망치(0.5%)도 상회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PCE도 전년 대비 4.7% 상승해 전월(4.6%)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한 우려로 금융시장은 흔들렸다. 정책금리 변동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12bp(1bp=0.01%포인트) 뛰어오르며 2007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4.814%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1.1%,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와 나스닥지수가 각각 1.0%, 1.7% 하락하는 등 뉴욕 증시의 3대 지수는 모두 떨어졌다. 달러도 꿈틀댔다. 유로·엔화 등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는 이날 105.21로 올라 지난 7주 동안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달러지수는 주간 1.35% 상승해 9월 말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미국 행정부 내에서도 물가 재상승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이번 PCE 보고서는 디스인플레이션이 쭉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라며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문제”라고 말했다. 연착륙 전망도 꺾이는 분위기다.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1월 PCE 수치는 매우 걱정스럽다”며 “물가가 지금의 수준에서 침체 없이 낮아진 선례는 없다”고 밝혔다.

1월 PCE의 상승은 소비 호조에 기인한다. 이번 보고서에서 함께 발표된 1월 소비자지출은 물가 조정 기준 전월 대비 1.1% 상승했고 개인소득 역시 같은 기간 1.4% 올랐다. 고용 시장 호조로 소비자들의 소득이 늘고 이를 바탕으로 지출도 커지면서 1월 PCE가 높아졌다는 의미다. 이에 고용 시장을 식히기 위해 연준이 금리를 높게, 더 오래 유지해야 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오안다의 선임 분석가인 에드워드 모야는 1월 PCE에 대해 “연준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할 수 있는 근거이며 노동시장이 깨지지 않는다면 연준의 금리 인상 캠페인은 여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1월 PCE 발표 이후 연내 연준의 피벗(통화정책 방향 전환)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을 바꿨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2월 기준금리가 5.25~5.5%로 유지될 확률이 38.3%로 가장 높다. 전날까지는 연준이 12월 5.0~5.25%로 기준금리를 한 단계 내릴 확률(37.2%)이 가장 컸지만 PCE 발표 이후 전망이 뒤집혔다. 전 연준 이사인 프레데릭 미슈킨 컬럼비아대 교수 등 월가 이코노미스트들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가 6.5%에 달해야 할 수도 있다는 공동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이들은 올해 중반까지 기준금리가 각각 5.6%, 6%, 6.5%까지 인상될 것으로 제시했다. 이때 최고금리가 5.6%일 경우 2025년 말 인플레이션은 3.7% 수준이 된다. 연준의 목표인 2%에 도달하려면 기준금리가 6% 또는 6.5%까지 가야 한다는 의미다.

기저 효과가 발생하는 2월부터는 물가지표가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지난해 2월부터 6월까지 물가 상승 폭이 급등했던 만큼 다음 달부터는 전년 대비 기준으로 상승 폭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월가의 금융시장 분석 업체인 비앙코리서치는 1월 6.41%였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기저 효과로 6월에는 3.29%로 낮아질 것으로 봤다. 그럼에도 서비스 물가와 인플레이션 기대 등 불안 요인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비앙코리서치 설립자인 제임스 비앙코는 “상품 물가와 달리 서비스 물가는 정점에 달하지 않았을 수 있다”며 “여기에 통상 원유 가격과 함께 움직이는 인플레이션 기대치도 2월 원유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 여력이 커지는 점도 부담이다. 이에 연준의 우려도 짙어지는 분위기다. 필립 제퍼슨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 요인은 일시적·지속적인 요인이 다양한 양상으로 섞여 있다”며 “고용 시장의 수급 불균형과 서비스 부문에서 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하면 인플레이션이 쉽게 낮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걱정했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ro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