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새끼 입히는데 천금도 안 아까워”…반려동물 고가 의류 인기라는데

김규식 기자(dorabono@mk.co.kr) 2023. 2. 26. 15: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프리미엄 ‘펫웨어’ 열풍
프리미엄 펫웨어 편집숍 루이독
수십만원 호가 반려용품으로 인기
일부 매장 월매출 1억원 달하기도
아모레는 비건 펫 용품으로 주목
[사진 = 루이독 홈페이지 캡쳐]
현대백화점 압구정 본점에 있는 반려동물용품 편집숍 루이독. 이 매장은 월간 매출이 1억~1억5000만원에 달하는 ‘알짜’ 매장이다. 지하 1층 식품관 옆에 위치해 지나치기 쉽지만 행사 때면 줄을 서서 구매해야 할 만큼 루이독 반려동물용품은 인기를 끌고 있다. 루이독의 인기 비결은 마치 명품 의류를 방불케 할 만큼 반려동물 의류에 고급 소재를 활용한 것이다. 아일랜드 리넨 원단으로 만든 가방은 정가가 38만원이고, 캐시미어 소재로 만든 의류는 12만원에 팔리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루이독은 다른 현대백화점 매장에도 입점했는데 월간 매출이 수천만 원에 달한다”면서 “반려 인구가 늘면서 프리미엄 반려동물 의류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500만명을 넘어서면서 반려동물용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실내 활동의 비중이 늘면서 반려동물용품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하는 모양새다. 26일 패션플랫폼 무신사에 따르면 지난해 반려동물용품 전문 브랜드의 매출은 전년 대비 40% 성장했다. 대표 브랜드로는 아이캔더와 바잇미가 꼽히는데 반려동물 장난감과 의류, 가방 등을 제조해 판매하고 있다. 반려동물 의류는 일상복의 경우 수만 원 수준이지만 겨울용 방한 의류는 10만원대를 호가한다. 가격대로만 보면 아동복과 비슷한 수준이다. 반려동물 의류 시장이 커지면서 패션 브랜드들이 ‘펫 웨어’ 시장에 진출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미국 예일대학교 로고로 유명한 패션 브랜드 ‘예일(Yale)’은 반려동물 의류에도 예일대 로고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예일은 젊은 층이 주로 소비하는 브랜드로 반려동물 의류에도 같은 디자인을 적용해 내놓고 있다. 사람과 반려동물이 이른바 ‘커플룩’을 맞춰 입도록 디자인한 것이다.

무신사 관계자는 “반려동물을 위한 패션도 자기 옷만큼이나 스타일리시한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반려동물과 옷을 맞춰 입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패션브랜드 또한 반려동물 의류를 함께 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뷰티업계 또한 반려동물용품 시장으로 적극 진출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해 펫 케어 브랜드 ‘푸푸몬스터’를 출시했는데 비건 인증을 받은 제품만 내놓고 있다. 푸푸몬스터는 동물실험을 안하고 동물원료도 사용하지 않는 비건 브랜드다. 반려동물 샴푸, 데오스프레이(탈취제) 등이 대표 제품이다. 아모레퍼시픽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린스타트업을 통해 2021년 출범했다. 주로 뷰티 제품을 내놓고 있지만 앞으로 반려동물용 장난감 등으로 시장을 넓힐 계획이다. 애경산업과 LG생활건강 또한 앞서 2016년 펫 케어 브랜드 ‘휘슬’과 ‘시리우스’를 각각 출시했던 바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